AI는 인간 일자리를 얼마나 빨리 뺏을까? 골드만삭스· 맥킨지· MIT 전망 엇갈려
AI가 인간의 일자리를 빠르게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AI가 향후 몇 년 내에 전체 노동 시장의 25%를 자동화할 것으로 추정했으며, 맥킨지는 2055년까지 모든 업무의 거의 절반이 AI에 의해 주도될 것이라는 예측 결과를 내놓았다. 또 국제통화기금(IMF)은 전 세계 고용의 약 40%가 AI의 영향을 받게 될 것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지난 14일 발표했다.
이처럼 AI의 급격한 일자리 대체로 대규모 실업 사태가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현지시각 22일 MIT에서 내놓은 보고서(Beyond AI Exposure: Which Tasks are Cost-Effective to Automate with Computer Vision?)가 주목받고 있다. AI가 아직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을 준비가 되어있지 않으며 AI 자동화가 예상보다 천천히 진행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MIT의 컴퓨터 과학 및 인공 지능 연구소(CSAIL)는 AI가 인간이 수행하는 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기술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기업이 해당 작업을 수행하는 인간 직원을 AI로 대체하는 것이 이득인지 경제적인 관점에서 연구를 수행했다.
그 결과 현재 기술적으로 AI로 자동화가 가능한 작업 중, 기업의 입장에서 인간 노동자에게 임금을 지불하는 대신 AI로 자동화하는 것이 더 저렴한 작업은 23%에 불과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해당 수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술이 발전하며 바뀔 수 있지만, AI로 인한 일자리 붕괴는 예상보다 더 점진적인 속도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연구진은 제빵사를 예로 들었다. 미국 노동통계청에 따르면 제빵사는 업무 시간의 약 6%를 식품 품질을 검사하며 소모한다. 그런데 이 확인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한 AI 시스템 구축에는 16만 5천 달러가 들며, 유지비로는 연간 12만 2,840달러가 소요된다. 하지만 연간 4만 8,000달러를 버는 제과점에서 5명의 제빵사를 고용해 확인 작업을 맡기게 되면 약 1만 4,000달러를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아직은 빵의 품질을 검사하는 AI를 따로 구축하는 것보다 인간 직원을 고용하는 것이 더 경제적이라는 설명이다.
연구 책임자인 닐 톰슨 MIT 컴퓨터과학부 수석과학자는 “AI가 즉시 모든 곳에 적용되지 않은 이유가 있다. 그 뒤에는 경제 논리가 존재한다.”라고 설명했다. 또 “연구의 결과는 AI로 인한 일자리 대체의 영향은 상당하지만 점진적일 것이며, 따라서 실업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과 재교육의 여지가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설명했다. AI의 여파에 정책적으로 대비할 시간이 충분히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톰슨은 “이번 연구를 통해 근로자의 실직이 얼마나 빠르게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지 조금 더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라며 재교육과 정책에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단 연구진은 해당 연구가 제조 라인의 마지막 단계에서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작업 등 시각적 분석이 필요한 작업에 한해 수행되었으며, 챗 GPT와 같은 생성 AI가 근로자와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덧붙혔다.
샘 알트만 오픈 AI의 CEO 역시 AI의 위험성이 과장되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지난 15일부터 열린 스위스 다보스포럼에 참가한 알트만은 “강력한 AI는 우리 모두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덜 세상을 변화시킬 것이며, 우리 모두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덜 일자리를 변화시킬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그렇다면 국가는 AI의 일자리 대체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IMF는 AI의 경제적 여파에 대비해 선진국의 경우 AI 사용 증가의 이점을 최적화하고 혁신에 투자하기 위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수립해야 하며, 저소득 국가와 신흥 시장의 경우 디지털 인프라와 인적 자원 양성을 통해 기술 부족을 완화하고 의료 및 교육 제공 확대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짚었다. 이와 관련,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IMF 총재는 정부가 AI 파괴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거나 재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도록 촉구했다.
현기호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