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글로벌 탄소배출권 시장 가격 변동성 주목, 국내 배출권 전망은?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3. 27.
728x90

국내 배출권 가격 추이. 자료= SK증권

 

유럽을 비롯한 주요 탄소배출권 시장이 올해 가격하락 후 반등을 모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에 국내 시장도 현재 횡보 상태를 벗어나 글로벌 배출권 가격의 동조화 및 수렴할 것으로 보인다.

 

SK증권이 26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배출권 시장이 가격하락 후 중장기적으로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럽연합(EU)의 ETS(Emission Trading System)는 2022년 기준 총수익 388억 유로로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 규모다. 전 세계 배출권거래제를 선도하는 EU ETS는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41% 가량을 커버하고 있으며, ETS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30년까지 62% 감축할 계획이다.

 

유럽 배출권 가격은 2023년 한때 톤당 100유로를 넘긴 이후 하반기부터 약세로 돌아서며 52유로까지 하락했다. 유럽 배출권 가격의 하락은 겨울철 온난화로 천연가스 소비 감소, 유럽 경기 부진에 따른 산업 부문에서의 배출권 실수요 감소,

REPower EU 재원 확보를 위한 배출권 공급증가 등이 원인이다. 다만 최근에는 60유로 선까지 반등했다. 

 

보고서는 “204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90% 감축 목표를 발표하는 등 유럽의회의 탄소중립 의지가 재확인 되었으며,

2024년부터 해운업, 항공업 등에서 추가적인 배출권 수요 증가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점진적으로 배출권 공급량 축소가 예정되어 있어 중장기적으로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미국 배출권 가격은 지난해부터 점진적인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 대선 관련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주정부 차원에서의 탄소중립 정책은 지속될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유럽이 2026년 시행을 앞두고 있는 CBAM(탄소국경조정세)과 유사한 청정경쟁법(CCA)에 대한 논의가 미국에서도 진행 중이다. 영국도 2027년부터 탄소국경조정세 도입을 결정했다. 

 

보고서는 “탄소국경세는 탄소유출을 막기 위해 고안된 제도로 세계 어디에서나 동일한 탄소가격 지불을 지향한다”면서 “따라서 탄소장벽의 공고화는 글로벌 배출권 가격의 동조화 및 가격 수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다만 올해 배출권 시장이 전반적으로 침체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해외 전문가의 의견도 있었다. 

 

런던증권거래소그룹(LSEG)은 ‘2023년 탄소 시장 보고서’를 통해 올해 세계 배출권 시장이 침체를 겪을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유럽연합 배출권 거래제도(EU-ETS)의 침체가 클 것으로 예상됐다. 

 

보고서는 “유럽에서 경기 침체가 지속돼 유럽연합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에서 배출권을 구매하는 많은 산업 분야의 수요가 사라지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파울라 반 라닝햄 런던증권거래소그룹 탄소시장 연구 대표는 영국 친환경 산업 매체인 비즈니스 그린을 통해 “경제 성장률, 국제 정세, 천연가스 수요 등을 고려하면 올해도 침체기를 벗어나길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한국 상황은 어떨까. 

 

정부는 지난 1월 배출권거래제 활성화를 위해 법안 개정을 통해 배출권을 거래할 수 있는 주체에 배출권 거래중개회사를 추가하며 온실가스 배출권 중개업을 신설했다. 업계에서는 연내 국내 배출권 시장과 연계한 ETN 출시를 예상하고 있으며, 이후 자산운용사 등 다양한 참여자가 배출권 시장에 진입할 전망이다. 

 

국내 배출권의 경우 시장에서는 단기적 횡보 후 장기적 상승을 전망하고 있다. 현재 국내 배출권 가격은 9000원 초반에서 횡보가 이어지고 있다. 27일 기준 한국 배출권 시장정보 플랫폼에 따르면 한국 배출권(KAU23) 종가는 전일대비 3.80% 하락한 8100원이다.

 

최관순 SK증권 연구원은 “KAU23에 대한 명세서 제출(3월)과 인증량 통보(5월)까지 국내 배출권 가격은 현재 수준이 이어질 전망”이람녀서 “이후 정산을 위한 매도로 일시적인 가격조정이 예상되나 이월을 위한 순매도량 변화(기존 2배 →3배)로 하락폭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연구원은 이어 “올해에는 4차 배출권거래제 기본계획안이 발표될 예정인데, 유상할당 비율 확대 및 무상할당량 축소가 유력하다”면서 “시장 참여자 확대(수요증가)와 무상할당 축소(공급감소)는 장기적으로 배출권 가격 상승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윤수은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