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카드업계, CEO 대거 교체된 배경은?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12. 31.
728x90

내년부터 연 매출 30억원 이하인 영세·중소가맹점 카드 우대수수료율이 0.05~0.1%포인트 인하됨에 따라 카드사 수익성이 저하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다. 자료=금융위원회

[이코리아] 금융권에 부는 ‘인적 쇄신’ 바람을 카드사도 피하지 못했다. 다수의 카드사가 최고경영자(CEO) 교체에 나선 가운데, 내년 더욱 나빠질 경영환경을 신임 CEO들이 어떻게 헤쳐나갈지 관심이 집중된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우리·하나·비씨(BC) 등 국내 8개 전업카드사 중 이번 연말 CEO 교체를 발표한 곳은 총 신한·삼성·KB국민·우리·하나 등 총 5곳이다. 아직 임기가 남아있는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2026년 3월)와 오너 경영인인 정태영 현대카드 대표를 제외하면, 사실상 거의 모든 카드사가 리더십을 교체한 것. 임기 만료를 앞둔 카드사 CEO 중 연임에 성공한 것은 최원석 BC카드 대표 뿐이다.

카드업계 연말 인사에 대해서는 의외라는 반응도 나온다. CEO 교체에 나선 카드사 대부분 올해 실적이 나쁘지 않았기 때문이다. 실제 업계 1위 신한카드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은 552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8% 증가해 문동권 대표의 연임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신한금융 자회사 최고경영자후보추천위원회(자경위)는 지난 5일 박창훈 신한카드 페이먼트(Payment) 그룹 본부장을 차기 대표 후보로 추천했다.

삼성카드도 같은 기간 23.6% 증가한 5315억원의 순이익을 거뒀지만, 인적 쇄신 흐름을 피하지 못했다. 지난해 삼성 금융계열사에 불어닥친 ‘물갈이’ 인사 바람에도 실적개선 및 리스크 관리 성과를 인정받아 자리를 지켰던 김대환 삼성카드 사장도 5년의 임기를 마무리하고 김이태 삼성벤처투자 사장에게 자리를 물려주게 됐다.

국민카드도 올해 3분기 누적 순이익이 37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6% 증가하며 카드사 ‘빅4’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지만 CEO가 교체됐다. KB금융지주는 지난 6일 계열사대표이사후보추천위원회를 열고 김재관 KB금융지주 재무담당(CFO) 부사장을 국민카드 신임 대표 후보로 추천했다.

우리카드(1402억원)와 하나카드(1844억원)도 같은 기간 순이익이 각각 19.4%, 44.7% 증가하며 실적개선에 성공했지만 역시 수장이 바뀌었다. 특히, 우리금융은 그룹 계열사 경력이 전무한 외부 인사인 진성원 전 현대카드 오퍼레이션본부장을 새 대표 후보로 깜짝 발탁하며 업계를 놀래켰다.

하나금융도 성영수 하나은행 부행장을 하나카드 신임 대표 후보로 추천했다. 이호성 현 하나카드 대표는 하나은행장으로 영전했다.

카드사들이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리더십 교체에 나선 배경에는 업황 악화에 대한 위기감이 놓여있는 것으로 보인다.

올해 카드업계 호실적은 본업인 신용판매업 수익이 아니라 비용 절감 및 대출 확대에 기댄 ‘불황형 흑자’라는 자조적인 평가가 나온다. 실제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전업카드사에 NH농협카드를 포함한 총 9개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지난달 기준 42조5453억원으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이는 이전 최고기록인 10월(42조2202억원)보다 3251억원 증가한 것으로, 지난해 말(38조7613억원)과 비교하면 불과 11개월 만에 4조원 가까이 불어난 셈이다.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위축으로 본업인 신용판매업 수익 성장은 둔화하는 상황에서, 비용절감과 카드론 확대로 실적을 올리다 보니 장기적인 성장잠재력은 오히려 약화하고 있다는 진단도 나온다. 대출규제로 은행 문턱이 높아진 상황에서 2금융권으로 대출 수요가 몰리면서, 카드대출 연체율이 상승해 재무건전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도 문제다.

게다가 내년에는 카드수수료율 인하도 예정돼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17일 ‘카드수수료 개편방안’을 발표하고, 내년부터 연 매출 30억원 이하인 영세·중소가맹점 카드 우대수수료율을 0.05~0.1%포인트 인하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이번 결정으로 약 305만개의 영세·중소가맹점이 평균 8.7%, 약 179만개의 영세·중소 PG하위 사업자가 평균 9.3%의 수수료부담을 경감 받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금리인하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커진 것 또한 카드사들에게는 악재다. 앞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은 지난 18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정책금리를 기존 대비 0.25%포인트 인하한 연 4.25~4.5%로 결정했다.

하지만 연준은 이날 함께 공개한 점도표에서 내년 말 기준금리를 연 3.9%로 전망했는데, 현 금리 수준을 고려할 때 내년 연준의 금리인하는 두 차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내년 금리인하 속도가 시장의 기대보다 느릴 가능성이 크다는 뜻으로, 금리인하로 조달비용 부담이 줄어들 것을 기대했던 카드사로서는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소비 위축, 수수료율 인하, 기준금리 인하 지연, 연체율 상승 등 각종 악재가 겹친 만큼, 카드사들도 기존 대표의 연임을 통해 조직 안정을 꾀하기보다는, 새로운 인재를 수혈해 변화를 모색하는데 방점을 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신임 대표들의 첫 과제도 실적 성장보다는 수익성 방어 및 리스크 관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금리인하를 통해 업황이 개선될 여지가 남아있는 만큼, 신임 대표들의 활약 여부에 따라 수년간 정체된 카드업계 순위가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새해 카드업계를 이끌어갈 신임 CEO들이 어떤 경영전략을 보여줄지 관심이 집중된다.

 

 

임해원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