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리아] 생성형 인공지능(AI) 다음 미래먹거리로 ‘물리 AI’가 주목받고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지난 6월 대만 컴퓨텍스 기조연설에서 “물리 법칙을 이해하는 AI, 우리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AI가 주요 기술이 될 것”이라며 “모든 공장이 로봇화될 것이고, 공장을 로봇을 제작하고 로봇은 다시 로봇형 제품을 만들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물리 AI는 물리적 법칙과 데이터 기반 학습을 결합해 실제 현상을 더 정확히 예측하고 이해하는 AI로, 가상·현실 세계 차이점을 최대한 줄여 결과물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다. 이를 활용하면 기존 데이터 기반 모델이 추론하기 어려운 희귀 사건이나 극단적 상황을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AI가 기상 데이터 기반으로 비가 올 확률을 계산해 예측한다면, 물리 AI는 공기 흐름이나 대기 압력 변화 등 물리학적 요소까지 고려해 강수 확률을 계산한다.
이에 전문가들은 스마트 팩토리 등 디지털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는 최신 정보통신기술(ICT)과 자동화 기술을 활용하여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해 공장 스스로 제어하는 미래형 공장이다. 스마트팩토리의 도입은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AI 등 4차 산업혁명 기술과 결합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유연성을 확보하며, 제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필수적이다.
시장조사기관인 글로벌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스마트 팩토리 시장 규모는 2024년에 3546억 달러(한화 약 521조 9002억원)로 추정되며, 2029년에는 5643억 8000만 달러(한화 830조 6544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연평균 성장률은 9.74%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
게다가 스마트팩토리는 ‘리쇼어링’ 현상도 가속하기 때문에 일석이조다. 리쇼어링은 인건비 문제로 해외에 나간 자국 기업이 돌아오는 현상을 뜻한다. 기업 입장에선 스마트팩토리 제조 비용이나 제3국 제조 후 수출 비용에 큰 차이가 없어지기 때문에 본국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사진-현대오토에버 누리집 갈무리]
현대오토에버는 현대차그룹의 디지털 전환을 맡을 주요 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삼성증권은 지난 26일 “현대차와 기아가 디지털 인프라와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대규모 투자를 진행함에 따라 현대오토에버의 실적 가시성이 높아지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현대오토에버는 2023년 준공한 싱가포르 혁신센터에서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적용하며 기술을 내재화했다. 싱가포르 혁신센터는 AI, ICT, 로보틱스 등 첨단기술을 융합한 인간 중심의 제조 시스템을 바탕으로 시장 변화 및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차종 소량 생산 시스템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삼성증권은 “현대오토에버는 로봇 자동화 시스템과 신기술을 기반으로 제조 경쟁력을 크게 강화할 것”이라며 현대오토에버의 목표 주가를 기존 대비 상향 조정한 20만 원으로 제시했다.
[사진-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이 적용된 경남 창원 LG스마트파크 냉장고 생산라인의 모습, 출처-LG전자]
LG전자는 차세대 먹거리를 스마트 팩토리로 선정하고 오는 2030년 조 단위로 키워내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4년 초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스마트 팩토리 사업담당을 신설했지만, 벌써 가시적 성과도 나타나고 있다. 7월 기준 생산기술원이 LG그룹 계열사를 제외한 외부 업체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공급하는 수주 규모는 3천억 원 수준으로 예상했다.
투자전문가들은 스마트팩토리의 교육 기술에도 주목하고 있다. 코오롱인베스트먼트와 IBK 벤처투자는 지난 23일 기술교육 전문기업 ‘아이지’에 5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다. 아이지의 중점 사업 분야는 첨단기술 교육사업으로, 이공계열 교육기관, 정부 출연기관 대기업 사내 기술교육 아카데미 등을 대상으로 △반도체 △스마트팩토리 △로봇 △자동제어·전기·전자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
권오성 코오롱인베스트먼트 전무는 “아이지는 스마트팩토리 및 클라우드 솔루션 구축 분야에 있어 나이스신용평가 기술 신용평가(TCB)에서 최우수 등급인 T-2 등급을 획득하고, 분량조립품분해부를 갖춘 스마트팩토리 시스템 등 관련 특허도 갖고 있어 스마트팩토리 교육 분야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라며 “스마트팩토리는 하드웨어(HW) 외에도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SW)적인 측면도 중요하다.”라고 투자의 이유를 설명했다.
정부는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통해 기업들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있다. ‘스마트팩토리 구축 지원 사업’을 통해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고, ‘스마트팩토리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유호경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수출 전망] 아시안 중동 '맑음', 대미 '흐림' (0) | 2024.12.31 |
---|---|
12월 생활물가지수 전년 대비 2.2% 상승 (0) | 2024.12.31 |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자사주 5천주 매입... 밸류업 실행력 강화 (1) | 2024.12.31 |
정진완 우리은행장 취임 일성은 "신뢰 회복" (0) | 2024.12.31 |
미국 은행주 상승 랠리, 국내 은행주 약세 왜? (4)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