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2일~12월 30일 KRX 은행 지수 변동 추이. 자료=한국거래소
[이코리아] 미국 은행주가 상승 랠리를 이어가는 가운데, 국내 은행주는 좀처럼 약세를 벗어나지 못하며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탄핵정국으로 밸류업 기대감이 꺾인 가운데 이자마진 축소, 고환율 등의 악재가 겹치며 내년 실적에 대한 우려도 커지는 모양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국내 주요 은행지주사로 구성된 KRX 은행 지수는 올해 마지막 거래일인 30일 전거래일 대비 12.29포인트(△1.45%) 하락한 833.96으로 장을 마감했다.
올해 첫 거래일인 지난 1월 2일 673.27로 시작한 KRX 은행 지수는 연초 정부가 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이하 밸류업) 도입을 예고하며 상승세를 타기 시작했다.
은행주는 이후 홍콩H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사태, 금융당국의 밸류업 가이드라인 발표에 따른 실망감 확산, 금리인하로 인한 수익성 저하 우려 등 각종 악재로 등락을 거듭하기도 했다. 하지만 은행지주사의 경쟁적으로 밸류업 공시로 높아진 주주환원 기대감 덕에 은행주는 연초의 상승세를 꾸준히 이어갔고, 결국 이달 3일 장중 한때 970.83까지 오르며 연고점을 갱신했다.
하지만 같은 날 발생한 비상계엄 사태로 은행주는 한 해 동안 쌓아 올린 상승분을 대폭 반납했다. 지난 3일 969.26으로 장을 마감한 은행 지수는 30일 833.96으로 불과 한 달여 만에 135.30포인트(△14.0%)나 급락했다. 연초와 비교하면 23.9%나 오른 것으로 코스피 수익률(△10.1%)을 크게 상회했지만, 계엄 이후의 기간만 비교하면 오히려 코스피(△4.0%)를 하회하는 성과를 보였다.
계엄 여파로 상승세가 꺾인 국내 은행주와 달리, 미국 은행주는 연말까지 꾸준히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JP모건체이스 주가는 30일 239.32 달러로 거래를 마쳤는데, 이는 올해 첫 거래일인 1월 2일(172.08달러) 대비 39.1%나 오른 것으로 같은 기간 S&P500지수 수익률(24.5%)을 약 15%포인트나 상회한 것이다.
다른 은행주도 마찬가지다. 뱅크오브아메리카(29.5%), 웰스파고(42.7%), 골드만삭스(47.7%), 씨티그룹(32.7%) 등 미국 주요 은행주 대부분이 30% 이상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이달 들어 미국 증시가 전반적인 약세를 보이며 은행주도 상승률이 둔화됐지만, 대체로 국내 은행주에 비해서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한해를 마감한 셈이다.
미국 은행주 약진의 직접적인 원인은 호실적이다. 삼성증권이 지난 10월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JP모건의 3분기 순이익은 128억9800만 달러로 시장전망치를 7.4% 상회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5.0%), 씨티그룹(16.5%), 웰스파고(12.4%) 등도 모두 시장 예상을 훌쩍 뛰어넘으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미국 은행들의 이러한 실적 성장을 가능하게 한 근본적인 동력은 미국 경기 회복이다. 금리인하로 이자마진이 축소될 거란 예상과 달리, 오히려 경기회복 및 시장금리 하락으로 기업의 대출수요가 급증하면서 은행 수익이 회복된 것.
여기에 도널트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대대적인 규제 완화가 추진될 것으로 기대되면서 내년 미국 은행주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는 분위기다.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따르면, 웰스파고의 애널리스트 마이크 메이요는 “JP모건체이스는 규제 완화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며, 내년 순이자수익(NII)이 890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했다.
4대 은행지주사 연초 대비 및 계엄 사태 이후 주가 등락률. 자료=한국거래소
반면, 국내 은행의 경우 경기둔화로 가계·기업대출을 가리지 않고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데다, 가계부채 리스크에 따른 대출규제, 금리인하에 따른 이자마진 축소, 고환율에 따른 건전성 부담 등 각종 악재가 겹친 상태다. 여기에 은행주 폭락의 원인인 정치적 불안정이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장밋빛 전망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김영도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최근 발표한 ‘올해 은행의 실적과 향후 경영과제’ 보고서에서 “국내은행은 실물경기 둔화 움직임, 기준금리 피벗(pivot) 기조의 시작, 가계대출 억제 및 기업대출에서의 경쟁심화, 신규 인터넷전문은행의 등장, 자본규제 강화 움직임과 밸류업 정책 도입 등 어느 하나 쉬운 것이 없는 대내외 경영환경에 직면해 있다”라며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는 커녕 현재 상황을 유지하기에도 상당히 버거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다만 탄핵정국으로 정부가 국정 동력을 상실한 상황에서도 은행지주사들이 지속적인 주주환원 제고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은 그나마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실제 올해 국내 은행주 상승률은 밸류업 계획에 대한 평가에 따라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은행지주사 주가는 연초 대비 각각 54.7%, 21.1%, 32.7%, 19.7% 상승했다. 이 가운데 홍콩 ELS 사태의 타격을 가장 크게 받은 KB금융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은 다른 은행지주사 대비 높은 평가를 받은 밸류업 계획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김은갑 키움증권 연구원은 “(비상계엄·탄핵이) 정치적으로 큰 이슈였던 만큼 정책 지속성에 대한 우려가 이해되지만 밸류업 정책과 주주환원 강화라는 테마가 정권에 따라 크게 방향이 바뀔 성격은 아니라 판단된다”라며 “은행주의 주주환원 강화는 공시된 바에 따라 실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임해원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자사주 5천주 매입... 밸류업 실행력 강화 (1) | 2024.12.31 |
---|---|
정진완 우리은행장 취임 일성은 "신뢰 회복" (0) | 2024.12.31 |
공과 뚜렷한 김원규 LS증권 대표, 연임 변수는? (3) | 2024.12.30 |
[2025 반도체 전망] 신기술이 수요 견인, 15% 이상 성장 예상 (3) | 2024.12.30 |
제주항공 동체착륙 참사, 보상금 규모와 시기는? (1) | 2024.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