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국내 기업 재생에너지 비중 '한자릿수'... 2050 RE100에 경고음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8. 6.
728x90
RE100 참여 기업의 국가별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 자료=에너지정책연구원

기후위기로 인해 기업의 탄소배출 절감 노력이 중요시되면서 RE100에 참여하는 국내 기업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재생에너지 인프라가 글로벌 수준에 비해 매우 부족한 데다, 정부도 재생에너지 확대에 소극적인 에너지정책을 펴고 있어 장기적으로 국내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RE100은 ‘'Renewable Energy 100%’의 줄임말로, 2050년까지 기업의 전력소비량 100%를 재생에너지로 조달하겠다는 자발적 캠페인이다. 지난 2014년 영국 런던 소재 비영리단체 ‘더 클라이밋 그룹(The Climate Group)’에 의해 시작된 RE100 캠페인은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확산하고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할 여건이 조성되면서 점차 전지구적인 호응을 얻게 됐다.

 

더 클라이밋 그룹에 따르면, RE100에 가입한 글로벌 기업 수는 지난 2014년 12월 12곳에서 지난달 기준 433개로 10년간 36배나 증가했다. RE100 참여 기업 명단에는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을 비롯해, 애플,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스타벅스 등 유수의 글로벌 대기업이 포함돼있다. 

 

국내에서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화두로 떠오르면서 지난 6월 기준  삼성, 현대, LG 등 36개 기업이 RE100에 참여한 상태다.

 

문제는 국내 기업의 RE100 참여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정작 기업이 재생에너지를 활용할 여건은 전혀 조성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에너지정책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RE100 동향과 단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RE100 가입 기업의 전력소비량 중 재생에너지 비중은 약 50% 수준으로 2016년 대비 18% 증가했다. 

 

반면 한국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은 8%, 수력을 제외하면 7%에 불과하다. 조사 대상 36개 국가 중 사우디아라비아(0%), 아랍에미리트(UAE, 2%), 싱가포르(4%), 남아프리카공화국 (8%) 등 4개국을 제외하면 한국보다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이 낮은 국가는 없다. 노르웨이(98%), 브라질(82%), 덴마크(80%) 등 기후대응 선진국 기업은 물론 RE100 참여 기업 전체 평균과 비교하도 상당한 격차가 있다. 

 

국내 기업의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이 낮은 것은 소극적인 기후대응 노력 탓도 있지만, 무엇보다 부족한 국내 재생에너지 인프라 문제가 크다. 영국의 에너지 싱크탱크 앰버가 발간한 ‘국제 전력 리뷰 2023’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9%로 세계 평균(30.3%)의 3분의 1 수준에도 미치지 못했다. 재생에너지 수급이 어려운 상황에서 기업이 RE100 목표를 달성하기는 불가능하다. 

 

정부의 소극적인 에너지정책도 기업의 RE100 달성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힌다. 지난 5월 발표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이하 전기본) 실무안에 따르면, 정부가 제시한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목표는 138.4TWh로 10차 전기본(134.1TWh)보다 3.2% 늘어났다.

 

하지만 이는 문재인 정부에서 발표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안(185.2TWh)의 4분의 3 수준에 불과하다. 11차 전기본의 신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 또한 2030년 기준 21.6%로, 10차 전기본과는 같고 NDC 상향안(30.2%)보다는 8.6%포인트의 낮다.

 

정부는 부족한 재생에너지를 원자력과 천연가스 등으로 대체하겠다는 입장이지만, 해당 에너지로 RE100을 달성하기는 어렵다. 실제 이번 11차 전기본에서 원전 및 LNG 비중은 각각 31.5%, 25.1%로 1·2위에 해당한다. 원전 비중은 NDC 상향안에 비해 7.9%포인트 증가했고, LNG 비중도 5.6%포인트 높아졌다.

 

하지만 RE100에서 인정하는 재생에너지원은 태양광·태양열, 바이오매스, 수력, 풍력, 조력, 지열 등으로 원자력과 천연가스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환경단체는 11차 전기본 실무안이 발표되자 일제히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에 대해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앞서 에너지전환포럼은 지난 6월 논평을 내고 “국제적으로 RE100을 주도하는 ‘클라이밋 그룹’은 지난 10년간 원전은 재생에너지가 아니며 RE100에 포함될 수 없다는 입장을 일관되고 명료하게 밝혀왔다”라며 “원전으로 무탄소에너지(CFE)를 실현한다는 정부의 논리는 동문서답이자, RE100이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기업들을 해외로 등 떠미는 메시지”라고 비판했다. 

 

탄소배출권을 구매해 기업이 배출한 탄소를 상쇄함으로서 RE100을 달성하는 방법도 장기적인 대책이 되기는 어렵다. 과학 목표 기반 탄소감축협의체(SBTi)는 지난달 30일 발표한 기술 보고서에서 탄소배출권 구매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상쇄하는 방식을 감축 실적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때문에 정부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에너지정책 기조에 변화를 줘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후솔루션은 지난 5월 발표한 논평에서 “11차 전기본 또한 정부가 여전히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정책적 우선순위보다 중앙집중형·대형 화력발전 중심으로 꾸려졌다”라며 “이는 시대착오적인 경로의존성을 답습하는 것이며, 에너지 전환을 늦출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후솔루션은 이어 “11차 전기본의 재생에너지 목표는 기존 2030 NDC뿐 아니라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협의체(IPCC)가 제시한 NDC 상향 추세에도 한참 못 미치는 소극적인 목표”라며 “(11차 전기본은)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책임을 회피하는 계획임을 주요 주체인 환경부와 국회는 인식하고 최종 전기본 확정까지 에너지 전환을 위한 의견에 경청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임해원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