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인정보보호위원회2

개인정보 보호 정책, 유럽과 한국의 차이는? [사진-픽사베이]​[이코리아]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지난 12월에 공개한 ‘개인정보 처리 통합 안내서’가 잘못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22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디지털정보위원회, 정보인권연구소 등 시민사회단체는 “개인정보의 범위에 대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해석이 잘못되어 있다”라며 “개인정보의 정의에서 “‘알아볼 수 있는’의 의미는 해당 정보를 ‘처리하는 자’의 입장에서 판단해야 한다면 관련된 정보주체의 권리를 침해하게 될 우려가 크다”라고 말했다​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023년 개인정보 처리 체계가 전면 개편되어 개인정보 처리와 관련한 개편내용에 대하여 현장에서 이해하기 쉽도록 사례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안내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개인정보 보호 법령 및 지침·고시 해설’과 ‘개인정보 보호법 및 .. 2025. 1. 23.
개인정보 무단열람으로 인한 피해, 구제받으려면 급변하는 인터넷 환경에서 개인정보의 유출 및 악용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어, 개인정보보호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그러나 직장 내부에서 개인정보침해을 당했을 때, 개인의 경우 침해 여부조차 확인하기 어렵다. 는 그럴 경우, 개인이 구제받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지 알아봤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누리집에 인사·노무 담당자들을 위한 필수 조치 사항으로 수집한 개인정보의 안전한 관리를 위해 채용 전형 단계별 정보취급자를 최소한으로 지정하고, 개인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비밀번호 설정, 백신 소프트웨어 설치, 방화벽 기능 적용 등 관리적·기술적·물리적 보호조치를 다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의 대응은 뒤늦다. 실제로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한 직원이 그룹 방탄소년단(BTS) RM의 개.. 2023. 1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