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석유화학2

위기의 석유화학업계 살리기, 정부 대책 실효성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 가운데)이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주재,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이코리아] 국내 석유화학업계가 최악의 글로벌 시황 속에서 정부의 지원책을 기반으로 사업 구조조정에 나선다.​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를 비롯한 관계부처 합동으로 23일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 회의를 열고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하며, 침체된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경기 회복의 모멘텀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우선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공급과잉 NCC(나프타 분해설비) 설비 합리화를 추진한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사업을 재편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지역 경제 타.. 2024. 12. 24.
발등의 불 '탄소국경세' 국내 석유화학 기업의 대응은? 석유정제 산업은 생산 과정 자체로도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 기준 세 번째로 큰 온실가스 배출 섹터(전체 배출량의 6%)다. 탄소배출량 상위 업종인 석유화학산업의 경우 수출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글로벌 규제환경 변화 리스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에 정유산업은 탄소감축 정책 강화로 변화되는 국내외 환경과 더불어 정제과정에서도 탄소 저감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발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현재 탄소배출권 거래와 같은 탄소가격제가 활성화되는 한편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이 2026년부터 시행이 본격화된다. 탄소배출 규제는 EU 뿐만 아니라 2027년 CBAM을 도입할 예정인 영국 외에 미국, 캐나다도 탄소국경조정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 2023.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