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리셀2

[제2의 아리셀 예방] 외국인 노동자 산재의 장벽을 깨자 정부는 '제2의 아리셀 사고'를 막기 위해 앞으로 비자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안전교육을 의무화하기로 했다. 또 작업장 안전 인프라 개선에 재정을 지원키로 했다.  고용노동부는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화성 아리셀 공장 화재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 3차 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외국인 근로자 및 소규모 사업장 안전 강화 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우선 화재 피해를 줄이기 위해 격벽 설치와 비상구 개선 등에 최대 1억 원까지 지원하고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를 인상한다. 외국인 근로자들이 취업 때 한 번 이상 기초 안전보건교육을 받도록 할 방침이다. 사고 유형, 안전 수칙 등을 모국어로 번역하거나 그림·가상현실 콘텐츠로 된 교육 자료를 배포하고 오는 11월부터는 외국인 근로자 .. 2024. 8. 14.
말로만 '안전 제일' 이주노동자 산재사망 증가 원인은? [사진-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리튬전지 공장 화재 현장, 출처-뉴시스]화성시 리튬 제조 아리셀’ 공장 화재 사망사건을 계기로 이주노동자의 안전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아리셀 대표는 안전 교육은 충실히 이행했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소방당국이 화재 발생 3일 전 화재 위험성을 경고했으나 안전조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이주노동자의 수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고 있다. 총 92만3000명으로,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2841만6000명)의 3.2%를 넘는다.  위험한 일에 주로 투입되다 보니 국내 전체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 중 이주노동자가 사망하는 사례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고용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전체 산업재해 사고 사망자는 총 812명으로, 그 중 이주노동자는 8.. 2024.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