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무2

[소중한 우리나무 찾기] 산앵도나무 3형제의 상큼함 어느 해보다 무덥던 여름이 물러가고, 아침과 저녁으로 제법 쌀쌀한 가을이 찾아왔다. 요즘같이 일교차가 크고 기온이 갑자기 낮아지면 우리 몸의 면역력이 떨어져 감기와 비염에 걸리기 쉽다고 한다. 우리 몸의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블루베리는 미국 타임지가 선정한 면역력을 높이는 10대 슈퍼푸드 중 하나이다. 작고 동그란 보라색 블루베리에는 항산화 물질과 안토시아닌이 풍부하여 노화와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우리나라에도 토종 블루베리로 불리는 나무가 있는데, 바로 오늘 소개할 산앵도나무이다. 산앵도나무라는 이름은 ‘산에서 자라며 앵도나무 같은 열매를 맺는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실제로 산앵도나무 열매는 앵두처럼 붉은색으로, 우리가 흔히 아는 흑자색의 블루베리.. 2024. 10. 10.
[소중한 우리나무 찾기] 댕댕이나무 3형제의 영롱함 KB경영연구소에서 발표한 ‘2023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가구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반려동물을 하나의 인격체로 대하고 반려동물과 공존하는 사회가 만들어지는 등 우리 문화도 많이 바뀌었다. 반려인들 사이에서 강아지에 대한 애정을 담은 신조어로 ‘댕댕이’라는 말이 있다. 우리나라 나무 중에도 이 표현을 담고 있는 나무가 있는데, 바로 오늘 소개할 댕댕이나무다.. 댕댕이나무라는 이름은 사실 신조어 ‘댕댕이’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 댕댕이나무는 우리말 ‘댕댕하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댕댕하다’라는 말은 안이 꽉 차서 팽팽하다는 의미인데, 댕댕이나무의 열매는 실제로 영롱한 남보라색에 단단하고 팽팽한 것이 특징이다. .. 2024. 9.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