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활용1 폐교 활용 잘하는 지자체의 특징은? [사진-폐교에서 도서관, 캠핑장으로 변신한 가야산 독서당 정글북. 출처-가야산독서당정글북 누리집 갈무리][이코리아]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로 전국의 초·중·고교 총 49곳이 올해 폐교를 앞둔 것으로 나타났다. 관리되지 않는 학교는 자칫하면 방치되어 흉물로 남을 수 있다. 지방인구 감소로 인해 폐교는 지방에 특히 더 많다. 올해 폐교 예정인 지방 학교는 43곳으로 전체의 88%에 달한다. 서울에선 한 곳도 없지만, 전남은 10곳으로 최다 폐교 예정지다. 이어 충남(9곳), 전북(8곳), 강원(7곳) 순이다. 부산(2곳)과 대구(1곳)도 예외는 아니다. 학교를 폐교할 때는 학생 수가 주요 기준이 된다. 폐교 기준은 각 시·도 교육청마다 조금씩 다르다. 부산시교육청은 도시 지역 240명 이하, 읍 .. 2025. 2.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