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국내기업, 탄소포집 저장사업 어디까지 왔나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9. 23.
728x90
사진은 가스생산을 마치고 CCS 저장소로 전환을 준비 중인 석유공사 동해가스전. 사진=한국석유공사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기술로 주목받는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사업의 대규모 해외 프로젝트에 국내외 기업들의 참여가 활발해지면서 향후 산업 성장세에 가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SK어스온은 지난 8월 호주에서 진행된 해상 탄소 저장소 탐사권 입찰에서 호주 북부 해상 카나르본 분지에 위치한 G-15-AP 광구 공동 탐사권을 따냈다고 밝혔다. 

 

SK어스온의 지분은 20%로, 호주에너지투자전문회사 롱리치 산하 탄소포집저장 전문기업 인캡쳐사 75%, 탄소포집저장기술 컨설팅 전문업체 카본CQ사 5%가 함께 개발에 참여한다.

 

호주는 지난해 11월 이산화탄소의 국가간 이송을 가능하게 하는 런던의정서 개정안 비준을 위한 법안을 통과시켰다.

 

SK어스온은 약 6년간 해당 광구의 저장 용량과 사업성 평가를 진행, 이산화탄소 저장소 개발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이후 사업성이 검증되면 추가 입찰 없이 호주 정부로부터 개발·주입권을 확보해 2030년부터 본격적인 이산화탄소 주입 사업을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그동안 구축한 자원개발 경험과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CCS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돼 SK어스온의 핵심 성장 동력인 자원개발 사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한국석유공사는 지난 5월 15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의 컨벤션 센터(ICE)에서 열린 인도네시아석유협회(IPA) 컨퍼런스에서 인니 국영 에너지 기업인 페르타미나와 인니 CCS 허브를 개발하는 아스리 분지 프로젝트의 이산화탄소 저장 계약을 체결했다. 

 

인니는 수백 기가톤의 이산화탄소(CO2)를 저장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고갈된 석유와 가스 저류층, 염수 대수층을 탄소 저장소로 활용하기를 원하고 있다. 산업 활동 중에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땅속에 저장하는 CCS 사업을 확대하게 된 배경이다. 인니 정부는 또 올해 CCS 사업자가 저장 용량의 30%를 수입 CO2를 위해 따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도 발표했다.

 

앞서 석유공사는 지난해 8월 ㈜한화, 에어리퀴드코리아(Air Liquide Korea), 쉘(Shell Gas & Power Developments B.V) 등과 함께 셰퍼드 프로젝트에도 참여한 바 있다.

 

해당 셰퍼드 프로젝트는 2022년 8월부터 삼성엔지니어링, 삼성중공업, 롯데케미칼, SK 에너지, SK 어스온, 말레이시아 페트로나스(Petronas) 등이 공동으로 참여해 추진해온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사업으로, 국내 산업단지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허브(hub) 터미널에 집결시킨 후, 전용 운송선으로 이를 이송해 말레이시아 내 고갈 가스전 또는 대염수층에 저장하게 된다.  

 

한국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2위로, 수출에서 차지하는 정유, 석유화학, 철강의 비중이 25%가 넘는다.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제조업을 축소하거나 다른 산업으로 전환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이에 CCS 기술 개발과 사업추진이 탄소저감의 중요한 축으로 떠오르고 있으며, 최근 정부가 발표한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도 그 역할이 한층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따라 CCUS(탄소 포집/저장/직접활용/전환/활용) 2030년 감축목표를 기존 1040만 톤에서 1120만 톤으로 80만 톤 확대했고, CCS를 통한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2030년 연간 400만톤에서 480만톤으로 상향했다. 

 

다만 CCS는 산업통상자원부, CCUS는 과기부에서 담당하는 등 아직 CCUS 관련 정책 지원을 총괄하는 책임부터가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실정이다. 현재 탄소포집 기술개발과 관련해 국내 관련 기업들은 호주, 말레이시아 등 해외로 탄소 저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들 국가들은 생산종료 예정 가스전들이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개발 노력과 투자도 중요하지만 국가 산단 중심의 CCS 포집 허브 구축 등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지적한다. 

 

유동헌 건국대 산학교수는 “CCS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은 부수적인 성과”라며 “CCS를 한국의 미래 먹거리로 삼고 정부 지원을 통해서 기술을 개발하고 완성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2050년 국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서는 CO2 10억톤을 해저에 묻어야 해 경제성,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는 대용량 저장소 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는 CCUS 저장소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에 따르면 탄소 포집 기술은 이미 한국에서 가능성을 실제적으로 시험 중이나 활용 기술은 아직 개발 단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CCS기술을 통한 탄소저감을 실현하려면 포집 다음 단계인 저장까지 단계로 가야 의미가 있다. 일각에서는 탄소 운반 비용문제나 향후 분쟁 이슈로부터 자유로우려면 국내에 저장소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부는 지난해 말 '한반도 권역별 종합 2D 3D 물리탐사 및 전산재처리 통한 상용화급 대규모 co2 저장소 확보' 국책과제를 발표한 바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고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전담하는 국책과제로, 2026년 12월까지 예정됐다. 한양대가 주관연구기관으로 과제수행을 총괄하며, SK어스온이 한양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석유공사 등과 함께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CO2 저장 후보지 탐사에 나서고 있다. 

 

한반도 CO2 저장소 확보 국책과제는 한반도 주변의 동해, 서해, 남해 해역을 광범위하고 정밀하게 탐사해 CO2를 어느 지역에 얼마나 저장할 수 있을지 평가하는 프로젝트다. 과거 이 지역 유전탐사 시 확보한 자료를 개선하고, 자료가 부족했던 해역은 추가 탐사를 진행해 CO2 저장소 유망지역을 발굴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또 표준화되지 않은 CO2 저장소 선정 방법에 대한 기준도 제시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23일 <이코리아>와 한 통화에서 “국책과제와 관련해 현재 서해권 탐사를 하고 있다”며 “국내 저장소의 경우 동해 폐가스전을 활용한 예비 타당성 사업 준비 중에 있다. 그래서 ‘탐사단계’라고 보는 게 맞다”라고 말했다. 

이어 “CCS 경제성과 관련해 전문가분들에 따르면 장기적으로 개선이 되지 않을까라는 전망이 있는데, 정부도 지금 그걸 바탕으로 하고 있다”며 “올해 2월에 이산화탄소 저장 활용법이 제정이 되고 현재 그 시행령,시행규칙 등의 하위 법령을 마련 중에 있어 그 안에 이제 구체적인 지원 방안과 절차 등이 들어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윤수은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