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MWC 누리집
[이코리아] 세계 최대의 이동통신 전시회 'MWC 2025'가 현지시간 3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막한 가운데, SKT, KT, LG 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는 AI 에이전트를 포함해 각종 AI 기반 혁신 기술을 선보인 가운데, 각자 기술력 강화를 위한 청사진을 잇따라 발표하며 주목받는다.
이번 MWC는 ‘융합하라. 연결하라. 창조하라(Converge. Connect. Create)’를 주제로 AI, 5G와 같은 통신 주제 외에도 양자 컴퓨팅, 확장현실 등 전반적인 기술 분야의 다양한 트렌드를 엿볼 수 있다.

= SKT 제공
지난 2023년부터 [AI 인프라] [AIX] [AI 서비스] 3대 영역을 중심으로 산업과 생활 전 영역을 혁신하는 ‘AI 피라미드 전략’을 추진해온 SK 텔레콤은 이번 MWC에서 AI 기술 경쟁력 강화에 대한 청사진이 담긴 'AI 피라미드 2.0' 전략을 공개했다. GPU 렌탈부터 소규모 모듈러(Modular), 고객 맞춤형 전용(Dedicated), 하이퍼스케일 급까지, 모든 유형의 AI DC 수요를 충족하는 솔루션 사업으로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AI Infra Super Highway)’ 구축을 가속화한다는 전략이다.
유영상 SKT CEO는 “AI DC 사업은 ‘알라카르테(a la carte; 맞춤형 상품)’ 형태를 갖춰 모든 유형의 고객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고도화하고, AI 에이전트 B2B와 B2C도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지속 제공하는 서비스 혁신과 함께 자강과 협력 기반으로 AI 테크 역량도 지속 강화해 AI 매출 성장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우선 AI 에이전트 사업은 올해 출시가 예정된 AI B2B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를 통해 본격적으로 수익화 실현에 나선다.
SKT 는 현재 AI 에이전트 사업을 B2C(개인용 서비스)와 B2B(사업자용 서비스)로 나눠 추진하고 있다. SKT와 SK C&C가 원팀으로 개발 중인 AI B2B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는 내부 베타 테스트를 거쳐 연내 SK그룹의 21개 멤버사로 확산, AI B2B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또 미국 출시를 준비중인 글로벌 AI 에이전트 ‘에스터(A*, Aster)’도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를 포함한 글로벌 통신사들과 협력해 글로벌로 확장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SKT는 2019년 코버트를 시작으로 꾸준히 AI 모델을 개발, 고도화해 왔으며 2022년 자체 LLM ‘에이닷엑스(A.X)’를 선보였다. 에이닷엑스는 사내 AI 도구, B2B 솔루션 에이닷 비즈 등으로 사용처가 확대되며 AI 확산의 구심점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에이닷엑스는 AI 통화 요약에 사용되던 챗GPT를 100% 대체하였고, 정부 행정 서비스, 마케팅 등에서 생산성을 높이며 에이닷엑스 호출 건수는 하루 5천만건을 넘어섰다.
상반기 중 개발을 완료하는 에이닷엑스 4.0은 한국어 지식 성능에 강점이 있는 고효율 한국어 특화 LLM으로 토크나이저 효율은 1.5배 이상 높다. SKT는 에이닷엑스 4.0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연내 대화, 멀티모달 개발 등 자체 LLM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갈 계획이다.
SKT가 지난 해 말 신설한 SK AI R&D 센터는 그룹 전체의 AI 혁신을 촉진할 그룹의 ‘AI 브레인’으로 기능하며, 멤버사들의 역량을 결집해 차세대 AI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그룹의 주요 사업에서 AI 활용 사례를 만들어간다는 방침이다.
글로벌 파트너십은 물론 K-AI 얼라이언스 멤버사들과의 협력도 올해 더욱 강화된다. SKT는 2023년 앤트로픽 투자를 시작으로 퍼플렉시티, 람다, 펭귄 솔루션스 등 글로벌 주요 AI 기업 대상 선제적인 투자를 통해 사업 협력을 강화해 왔다.
SKT는 글로벌 통신사들과의 AI 연맹인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 멤버사들과 AI 협력 사업 범위를 확대한다. SKT와 글로벌 통신사들은 통신사 주도 AI 생태계 조성을 위해 인프라,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이 중요하다는 데에 뜻을 모으고, MWC25 기간 중 다양한 협력을 모색할 방침이다. 특히, 올해는 신규 멤버사가 합류하는 등 글로벌 텔코 AI 얼라이언스가 한 단계 확장하는 한 해가 될 전망이다.
SKT 주도로 설립된 K-AI 얼라이언스와의 사업·기술 공동 개발 및 협력도 가속화된다. SKT와 국내 혁신 AI 스타트업들이 모여 설립한 K-AI 얼라이언스는 2023년 MWC에서 7개 멤버사로 시작해 현재 30개 멤버사로 확대됐으며, 전세계 13개국 31개 도시에 걸쳐 활발히 사업을 전개하며 국내 AI 생태계 혁신을 주도해 왔다.

= SKT 제공
SKT는 이 외에도 전시관에서 ‘AI 기지국(AI-RAN)’ 기술과 ‘통신·센싱 통합(Integrated Sensing and Communication, 이하 ISAC)’ 연구 현황, 건설 현장, 병원, 사무건물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정밀한 이동이 가능한 자율주행 기술 ‘VLAM(Visual Localization And Mapping)’, 개인과 기업 고객 모두 활용 가능한 통신 빅데이터 기반 AI 보안 솔루션 'FAME(Fraud detection AI for MNO & Enterprise)', 드라마·예능 등 영상 콘텐츠를 해외 시장에 맞게 현지화할 때 효율을 높여주는 'AI 미디어 스튜디오' 솔루션 등 다양한 혁신 기술을 선보였다.
또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기 위해 개최되는 ‘MWC25’의 부대행사인 4YFN에서는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AI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15개사와 함께 SK텔레콤과의 AI 협업사례 및 혁신 아이디어와 기술을 선보였다.

= KT 제공
KT는 위성 및 양자, AI 네트워크를 6G 핵심 기술로 낙점하고 관련 기술 확보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위성 분야의 경우 6G 시대에는 위성통신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며, KT가 국내 유일 위성통신 사업자로서 더 큰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KT는 정지궤도 위성(GEO: Geostationary Orbit), 저궤도 위성(LEO: Low Earth Orbit), 성층권 비행체(HAPS: High Altitude Platform Station)를 활용한 여러 계층의 비지상 통신 네트워크(NTN: Non-Terrestrial Networks)를 구성해 3차원 공간 커버리지 확보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기존 지상에 국한된 서비스 범위를 해상 및 상공까지 확장해 재난상황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통신망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MWC25에서도 무궁화 위성 6G 통신 환경 에뮬레이터를 이용한 NTN 기술을 시연했으며 HARQ-less((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less: 전파환경을 고려하여 재전송을 하지 않음으로써 전송효율을 높이는 기술) NTN기술을 적용해 통신 지연이 큰 GEO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3GPP NTN 표준기반 통신이 가능하다고 알렸다.
양자 분야의 경우 기존 양자 암호 통신이 양자를 이용해 암호키를 전달하는 기술이었다면 KT는 양자를 이용해 직접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술을 통해 양자 인터넷 시대를 한 단계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최근 정보 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는 흐름 속에서 양자 암호/통신/인터넷 기술로 고객정보에 대한 탈취가 불가능한 네트워크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양자 암호 통신은 양자 기술을 이용해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6G 시대에는 AI, 클라우드 등으로 데이터의 사용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양자 보안을 위해서는 고속의 암호키 제공이 필수적이다. KT는 양자 암호 통신의 고도화를 통해 양자 암호키 생성 속도를 국내 최고 수준인 150kbps까지 끌어 올렸다고 설명했다.
KT는 AICT 역량을 바탕으로 스스로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AI기반 네트워크도 선보일 계획이다. 현재 네트워크에서 수집되는 정보에 AI를 적용해 스팸차단, 보이스피싱 탐지 등 고객 보호를 위한 서비스를 개발했으며, 자율주행차와 같은 AI 응용 분야들과 연계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술 개발에도 힘쓸 예정이다.
KT 미래네트워크연구소 이원열 액세스망연구담당은 “KT는 일상 생활과 산업 전반에 있어 디지털 혁신과 재난/재해 대비, 고객정보보호, 탄소 중립 이행 등 통신서비스의 강화된 사회적 책임에 기여할 수 있는 6G 네트워크를 준비한다”며 “이를 실현하기 위선해 위성 및 양자통신, AI 기술이 핵심이다”고 강조했다.

= KT 제공
한편 KT는 ‘K-STREET’를 테마로 관람객들이 한국의 길거리를 걸으며 AI 기술과 어우러진 일상 속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전시관을 구성했다
사무공간을 표현한 ‘K-오피스’에서는 KT의 AI 모델을 활용해 업무 효율화를 돕는 AI 에이전트 솔루션이 공개된다. 무선시장 분석, 효율적 GPU 할당, 탄소 배출 현황 확인, 고객 상담사 지식 추천 등 다양한 기업용 AI 에이전트 기능을 관람객이 직접 경험할 수 있다.
K-스타디움(Stadium)은 KT가 만들어 갈 미래 경기장으로 AI 기술을 활용해 더 안전하고 몰입감 있는 경기장 환경에서 팬과 선수의 소통이 강화되는 모습을 구현했으며 AI 실시간 자막 번역은 경기장 내 외국인 팬을 위한 실시간 다국어 자막 번역 서비스로 KT그룹의 Cloud와 AI 전문 SW기업인 KT DS가 AI기술을 활용해 개발했다.
한국의 포장마차를 재현한 ‘K-포차’에서는 AI를 활용한 패턴 분석 기술을 선보인다. 테이블 오더 서비스인 ‘KT 하이오더’를 통해 주문된 제품을 BC카드 페이북 앱을 통해 결제하면 AI가 고객의 다음 행동을 예측해 연관 상품을 추천하는 방식이다.
AI의 생생한 경험을 위해 체험형 콘텐츠인 K-팝 댄스 챌린지(K-POP Dance Challenge)도 준비했다. AI가 생성한 K-POP 댄서들의 환영 인사를 받은 후 원하는 곡을 선택하면 AR 댄서들과 함께 춤을 추는 등 다채로운 경험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전시를 통해 KT 6G가 지향하는 핵심 기술을 소개하는 'K-랩', 재난 상황에서도 연결성을 유지하는 멀티 클라우드 기반 차세대 재해 복구 기술, 미래 네트워크의 보안 강화를 위한 양자 암호 통신 기술 등을 선보였다.

= LG 유플러스 제공
올해 MWC에 처음으로 단독 전시관을 연 LG유플러스는 ‘안심 지능(Assured Intelligence)’를 통해 만드는 밝은 세상에 대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AI가 발전하면서 AI를 활용한 개인정보 유출이나 해킹·스미싱 등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만큼, 고객들이 생활 속에서 믿고 사용할 수 있는 AI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LG 유플러스는 전시관을 크게 ▲Assured Intelligence존 ▲ixi존 ▲Personal AI Agent ▲Empowering Growth존 등으로 구성했다. 각 주제에 맞춰 전시된 기술과 서비스를 통해 관람객은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AI인 익시(ixi)를 기반으로 완성된 서비스가 고객의 일상에 편의를 향상하고 행복한 밝은 미래를 만드는 모습을 직접 경험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우선 ‘Assured Intelligence’존에서는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AI를 만드는 기초가 되는 핵심 기술을 선보였다. ▲개인 정보가 서버에 남지 않고 단말기만 저장되는 ‘온디바이스sLM’ ▲AI로 만들어진 음성을 구분해 스팸/피싱 피해를 방지하는 ‘안티딥보이스(Anti-DeepVoice)’ ▲대화 내용이 유출되더라도 내용을 확인할 수 없도록 암호화하는 ‘양자암호 기반 개인정보보안’ 등 기술을 소개한다.
진화 중인 AI 서비스는 ‘퍼스널 AI 에이전트(Personal AI Agent)’존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방문객은 익시오가 사용자의 통화 습관과 선호도, 관계를 분석해 고객에게 능동적으로 제안하는 ‘액셔너블 AI’를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다. 또 ‘익시(ixi)’존에서는 LG유플러스의 AI 기술인 익시를 통해 업무 생산성을 높일수 있는 다양한 AI 플랫폼을 체험할 수 있다.
‘Empowering Growth’존에서는 AI 기반 B2B 인프라와 파트너사와 협업 사례가 소개되며 그 중에서도 AI 데이터센터(AIDC)가 핵심적으로 소개된다. 전시관에는 GST 등 파트너사와 함께 개발한 차세대 액체냉각 솔루션과 효율적인 데이터센터 운영을 돕는 플랫폼인 AI DCIM 등이 전시된다. LG유플러스는 AIDC를 통해 AI를 활용하는 기업들에게 안정적으로 인프라를 제공함으로써 AX를 지원하고, 에너지를 절감하는 솔루션 및 설비를 통해 탄소 배출 저감 등 친환경 행보도 이어갈 계획이다.

= LG 유플러스 제공
전시장 중앙에 마련된 ‘익시퓨처빌리지(ixi FutureVillage)’에서는 익시를 통해 바뀌게 될 미래 고객의 삶을 엿볼 수 있다. ‘익시퓨처빌리지’는 투명 OLED 3개를 활용해 승용차 두 대를 나란히 붙인 크기(가로 3.8m, 세로 3.5m)로 조성됐다. LG유플러스는 3개의 방을 만들고 노부부,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 소상공인 등 서로 다른 생활방식을 가진 세 그룹의 생활패턴을 AI로 모델링해 실생활 속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모습을 구현했다.
거실에 앉은 노부부는 ‘익시’의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하루 권장 활동량과 혈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어린 자녀가 있는 가정에서는 AI 기반 영상 분석 솔루션인 ‘익시 비전’ 기술이 실내외 안전을 관리하는 식이다. 또 소상공인의 경우 ‘익시오’를 활용해 매장 운영 일정을 최적화할 수 있다.
LG유플러스 정혜윤 마케팅그룹장은 “익시퓨처빌리지는 AI를 활용해 다양한 고객들의 삶을 보다 안전하고 행복하게 만들고자 하는 LG유플러스의 약속”이라며 “MWC25에서 익시퓨처빌리지를 통해 AI가 만드는 새로운 생활경험뿐 아니라 지속가능한 미래와 밝은 세상을 전 세계에 선보이게 돼 뜻깊다”고 말했다.
현기호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I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LG CNS, AWS와 손잡고 ‘생성형 AI 협력 조직’ 출범 (0) | 2025.03.04 |
---|---|
삼성SDS, 공공 클라우드 사업 연달아 수주...공공분야 디지털 혁신 이끈다 (0) | 2025.03.04 |
통신3사 양자개발 속도전, 각사의 특징은? (0) | 2025.02.27 |
삼성 vs 애플, 중저가 AI 폰 맞대결...각각의 특징은? (1) | 2025.02.26 |
AI 서비스 확대하는 네카오...신규 서비스와 전략은? (1)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