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와 애플이 올해 2분기 스마트폰 시장 성장을 견인한 가운데, 삼성이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수성에 성공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IDC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은 6.5% 증가해 총 2억 8,540만 대의 출하량을 기록했다. 이 중 삼성전자의 2분기 스마트폰 출하량은 5,390만 대로 18.9%의 가장 높은 점유율을 차지했으며, 애플은 4,520만 대로 15.8%를 차지하며 2위에 자리했다.또 샤오미는 14.8%의 점유율로 애플을 바짝 추격했으며 그 뒤를 9.1%의 비보, 9.0%의 오포가 뒤를 이었다. 삼성과 애플은 1분기에는 각각 20.8%, 17.3%의 점유율을 차지한 바 있다.

보고서는 삼성의 경우 주력 제품에 대한 전략적 집중과 강력한 AI 전략에 힘입어 1위를 차지했으며, 애플은 중국 등 주요 지역에서 향상된 실적을 바탕으로 2위를 차지했다고 짚었다. 또 두 기업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성장했다고도 설명했다.
나발리 포팔 IDC 연구 책임자는 AI 스마트폰이 올해 시장 점유율 19%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하며 AI가 시장에 큰 흥분을 일으키고 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AI 스마트폰이 지금까지 본 어떤 모바일 혁신보다 빠른 속도라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과 애플이 고급 AI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의 프리미엄화 전략을 채택한 가운데, 중국 기업들이 저가형 시장을 공략하며 경쟁이 심화되고 가격대의 양극화가 이루어지고 있다고도 설명했다.
포팔은 “애플과 삼성이 계속해서 시장 선두를 지키며 프리미엄화 추세의 혜택을 가장 많이 누리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많은 주요 OEM 업체들이 수요 약세 속에서 물량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저가형 출하량을 늘리고 있다."라며, 이로 인해 중급형 기기의 점유율이 도전받고 있다고 짚었다.
하반기에 AI 스마트폰 경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IDC 보고서 역시 주요 제조사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짐에 따라 올해 하반기가 매우 긍정적이고 흥미롭게 전개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윌 웡 IDC 수석 리서치 매니저는 "일부 업체들은 수익성 확보를 위해 제품 사양이나 가격을 조정하는 등의 비용 압박으로 인해 2분기에 덜 공격적인 행보를 취했다."라며 "2분기는 하반기에 5G와 폴더블에 이어 차세대 성장 동력이 될 10세대 AI 스마트폰이 출시되기 전의 전초전이라고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하반기에 AI 스마트폰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애플은 자사 기기에 탑재될 생성형 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를 지난 6월 공개하며 본격적인 AI 스마트폰 경쟁을 예고했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이용자의 일상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화된 AI 경험을 제공하는 AI 비서로 작동하며 이메일 요약, AI 이미지 편집, AI 기반 통화 요약 등의 기능이 제공된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기기 자체적으로 AI를 구동하는 ‘온디바이스’ 방식과 중앙 서버와 연결되는 ‘클라우드’ 방식을 결합했으며, 보안 수준이 높은 자체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공개 클라우드 컴퓨트’ 방식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보안성이 높은 온디바이스 방식과 큰 연산력으로 고성능을 낼 수 있는 클라우드 방식의 장점을 둘 다 잡겠다는 것이다. 애플 AI는 오는 9월부터 본격적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한편 삼성 역시 지난 10일 갤럭시 언팩을 진행하며 갤럭시 AI가 결합된 폴더블 기기 '갤럭시 Z 폴드6'와 '갤럭시 Z 플립6'를 전격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S24와 함께 초 '갤럭시 AI'를 출시해 본격적인 모바일 AI 시대를 열었으며, 이번에 공개한 갤럭시 Z 폴드6와 갤럭시 Z 플립6는 다재다능한 폼팩터와 한 단계 더 진화된 갤럭시 AI를 통해 보다 차별화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갤럭시 Z 시리즈에는 ‘노트 어시스트’, ‘PDF 오버레이’, ‘삼성 키보드 글쓰기’ 등 최신 AI 기능이 탑재되었으며 지난 1월 S24 출시 당시 가장 주목받았던 AI 기능인 AI 통역 역시 폴더블에 특화되어 대폭 강화되며 주목받았다. 갤럭시 Z6 시리즈는 오는 24일 출시된다.
현기호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I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또 터진 클라우드 먹통 사태...원인과 해법은? (2) | 2024.07.22 |
---|---|
개인정보위 "AI 개발에 공개된 개인정보 활용 가능"...미국 유럽과 차이는? (0) | 2024.07.18 |
오픈 AI, '안전' 깜빡이도 켜지 않고 '영리화'고속질주 (0) | 2024.07.15 |
메타버스와 결합한 리걸테크의 현재와 미래 (3) | 2024.07.15 |
美中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 치열, 한국 상황은? (0) | 2024.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