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금개혁2

동네북 신세 된 '더 내고 더 받는' 연금개혁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3회국회(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국민연금법 일부개정법률안이 통과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코리아] 국민연금법 개정안이 오랜 진통 끝에 국회를 통과했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개정안이 ‘세대차별’을 방조하는 개악이라는 비판부터, 노후소득 보장 문제를 도외시한 여야의 ‘밀실야합’이라는 지적까지 서로 다른 이유에서 반발이 터져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앞서 국회는 지난 20일 본회의에서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재석 277명 중 찬성 194명·반대 40명·기권 43명으로 통과시켰다. ​지난 2007년 이후 18년 만에 이뤄진 이번 국민연금 개혁은 ‘더 내고 더 받는’ 방식의 ‘모수개혁’이다. 모수개혁은 연금제도의 구조 자체를 뜯어고치는 구조개혁.. 2025. 3. 24.
탄핵정국에 표류하는 연금개혁... 소득대체율 이견 왜 못 좁히나 이기일 보건복지부 1차관이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2025년 업무보고 사전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이코리아] 정부가 국민연금 개혁 논의의 불씨를 되살리기 위해 나섰다. 탄핵정국으로 국회의 연금개혁 논의가 중단된 데다, 소득대체율 등 쟁점 사안에 대한 이견도 여전히 좁혀지지 않고 있어 본격적인 재논의를 위해서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보건복지부는 지난 10일 연금개혁 추진 방안 등이 포함된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해 9월 보험료율을 현행 9%에서 13%로 인상하고, 소득대체율은 40%에서 42%로 상향 조정하는 내용의 국민연금 개혁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관련 법률안 개정에 나서야 할 국회가 논의를 중단하면서 연금개혁 추진에.. 2025.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