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닥3

비상계엄 사태, 한국 경제가 치를 비용은? [이코리아]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이후 6일이 지났다. 정치적 불안정에 따른 경제적 충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탄핵소추안 부결로 인해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한국 경제가 치러야 할 비용은 더 커질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실제 계엄 사태 이후 환율이 치솟고 증시가 급락하는 등 금융시장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 전체 시가총액은 계엄 선포 직전인 3일 2046조원에서 6일 1988조원으로 사흘 만에 58조원이 증발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은 344조원에서 330조원으로 시총이 14조원이나 줄어들었다.  계엄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감이 커지면서 외국인 투자자의 ‘셀 코리아’ 행렬도 계속됐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계엄 다음날인 지난 4일부터 6.. 2024. 12. 9.
계엄 사태로 韓 경제 펀더멘털 약화, 고환율에 타격 큰 업종은? [이코리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부결 후폭풍으로 1400원대 환율이 고착화하는 걸 넘어서, 최악의 경우 1500원대 환율 시대가 열릴 수 있다는 불안감이 제기되고 있다.  9일 서울외환시장에 따르면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거래일 대비 6.8원 오른, 1426원에 거래를 시작했다. 개장가 기준 2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원·달러 환율은 이날 오전 11시 22분 기준 전일 대비 0.82% 상승한 1435.75원을 기록 중이다. 지난 한 주간 달러 당 원화 값은 24.5원 급락(환율은 상승)했다.  정부와 금융당국이 외환 수급 개선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지만, 글로벌 전문가들이 보는 원화 전망은 암울하다. 우선 일본의 노무라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 2024. 12. 9.
연말 산타랠리 올까, 국내 증시 전망 엇갈려 크리스마스에 산타를 기다리는 건 아이들만이 아니다. 주식시장도 산타를 기다린다. 바로 ‘산타 랠리’다. 산타 랠리는 연말에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말한다. 산타 랠리가 생기는 이유에 대해선 다양한 의견이 존재한다. 사람들이 연말 보너스로 주식에 투자하거나 소비로 인한 실물경제 활성화로 인해 주가가 오른다는 설과 연말에는 기관 투자자들도 휴가를 떠나기 때문에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공매도가 줄고, 그 결과 주가가 오른다는 설 등이 있으나, 명확한 원인은 밝혀진 게 없다. 미국 주식시장은 산타랠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올해 들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18% 이상 올랐다. 네드 데이비스 리서치에 따르면 11월까지 주가가 15% 이상 올랐을 경우 주가는 12월에 76%가 넘는 확률로 상승.. 2023.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