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패널1 태양광 폐패널 자원순환, 국내외 진척 상황은?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중심 재생에너지 설비가 확산되면서 태양광 폐패널 발생 또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태양광 폐패널 처리 및 재활용 기술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30일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 폐패널 예상 발생량은 2030년까지 최대 800만톤, 2050년 기준을 7800만톤이 누적 폐기될 것으로 추정된다. KISTEP은 '태양광 폐패널 재활용 기술' 보고서를 통해 "태양광 패널의 사용기한(20-25년) 만료, 발전설비의 사용기간 만료, 리모델링 및 발전시설 폐쇄 등으로 폐패널이 대량 발생할 수 있으며, 최근 파손 및 효율 저하로 인해 조기 폐기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어 폐패널의 발생 시점은 예상보다 앞당겨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으로.. 2024. 1.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