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5

ICT업계 중동 진출 활발...현재 진행 상황은? ​[이코리아] 최근 국내 ICT 업계의 중동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중동은 전 세계에서 평균 연령이 가장 낮아 젊은 소비자가 많으며, 최근 각국이 석유자원 의존에서 벗어나 IT 인프라를 확장하고 경제 분야를 다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성장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대표적으로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자원에 의존하고 있는 경제 분야를 IT, 서비스업 등 다양한 분야로 다각화하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비전 2030'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며, 2030년까지 글로벌 AI 순위 15위 진입을 목표로 데이터 AI 국가전략을 수립한 상황이다. 또 아랍에미리트는 'UAE AI 전략 2031'을 수립해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중동은 점차 글로벌 IT산업의 주요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다.​네이버는 사우디아라비아에.. 2025. 2. 10.
CES 2025, 주목할 6대 트렌드와 혁신 기술 = CES 누리집​[이코리아] 세계 최대 규모의 ICT 전시회 CES 2025가 다음달 7일부터 10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된다. 올해의 CES에서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AI가 최대의 화두에 올랐다. 올해 CES의 슬로건은 'DIVE IN'으로, AI 기술을 통해 전 세계를 연결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나가겠다는(CONNECT, SOLVE, DISCOVER, DIVE IN) 메시지를 담았다.​삼정 KPMG는 지난 20일 내놓은 'CES 2025 프리뷰: 미리보는 CES 트렌드' 보고서를 통해 올해 CES에서 주목해야 할 6대 트렌드 분야로 ▲AI·로보틱스 ▲모빌리티 ▲XR (확장현실) ▲스마트홈 ▲디지털 헬스케어 ▲ESG를 꼽았다.​​​= 삼정 KPMG 누리집​우선 AI·로보.. 2024. 12. 26.
22대 국회 첫 국정감사, 주요 ICT 이슈는? 국회 과방위가 24일 전체회의를 열어 국정감사 출석 증인과 참고인에 대해 의결했다. 증인으로 108명, 참고인 54명 등 총 158명이 선정되었으며 통신 3사 임원, 방송통신위원회 논란 관련 인물, 구글, 넷플릭스, 애플 등 주요 글로벌 빅테크 관계자 등이 채택되었다. 과방위 국정감사는 10월 둘째 주에 열린다. 우선  AI 분야가 주목받는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발간한 2024 국정감사 이슈 보고서에서는 AI 분야 이슈로 국가 AI 정책 거버넌스의 내실화, 반도체 개발에 집중된 AI 관련 예산의 재편, AI 이용자 보호의 구체성 강화, AI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짚었다. 업계와 전문가들은 국내 AI 거버넌스의 확립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뽑고 있다. 미국의 경우 지난 2021년 '국가 인공지능 이니셔티.. 2024. 9. 25.
2024년 주목해야 할 첨단 ICT 기술 톺아보기 AI, 자율 주행, 양자 기술, 공간 컴퓨팅, BCI 등 분야에 각계 주목 올해에 주목해야 할 첨단 ICT 기술은 무엇이 있을까. IT 전문가, 외신 등 각계의 의견을 살펴봤다. 생성형 AI는 지난해에 이어서 올해도 가장 주목받는 주인공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분야를 막론하고 주요 기업들은 앞다투어 AI 분야에 투자하며 이와 관련된 신기술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다. 오는 9일부터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ICT 전시회 CES 2024에서도 5대 주요 테마 중 가장 중요한 기술로 AI에 주목했다. AI가 다른 분야의 기술에도 큰 영향력을 끼치며 모든 테크의 중심으로 자리잡은 것이다. CES 2024를 주최하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는 “AI는 문제 해결을 새로운 차원으로 끌어올려 사용자 경험을 혁신하고 .. 2024.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