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국제 돌봄 및 지원의 날(International Day of Care and Support)’이다. 2023년 유엔 총회는 29일을 성평등과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이정표로 선포했다. 국제적으론 가사·돌봄 노동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사회 돌봄 공공성은 후퇴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돌봄 경제가 커지고 있다. 국제노동기구(ILO) 자료에 따르면 돌봄은 전 세계의 일자리 중 3억 8100만 개의 일자리, 전체 고용의 약 11.5%를 차지하고 있다. 돌봄 노동은 대부분 가정이나 가족 내에서 무급으로 제공되며, 이는 매년 세계 경제에 약 11조 달러를 기여하는 셈이다. 국제노동기구는 “무급 돌봄 노동의 4분의 3 이상(약 6억 6천 6백만 명), 유급 돌봄 노동력의 3분의 2가 여성 노동자”라며 “돌봄에 대한 보상은 양성평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라고 설명한다.
이에 세계 2천만 명 이상의 공공부문 노동자를 대표하는 국제산별연맹인 국제공공노련(PSI)는 ‘케어 매니페스토(Care Manifesto: Rebuilding the social organisation of care)’캠페인을 시행하고 있다. 이 캠페인은 돌봄의 공공성 강화와 돌봄노동자 권리확보를 위한 국제적 캠페인 사업으로, 주로 여성에게 귀속되는 가구의 ‘사적’ 책임이 아닌 공공재와 집단적 사회적 책임으로서 정부의 돌봄 자원 관리를 요구한다.
국제노동조합총연맹(ITUC), 국제노동기구, 국제공공노련같은 국제단체들은 국가 GDP의 일부인 돌봄 경제에 대한 공공 투자를 늘려 수백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여성에게 경제적 참여를 부여하며, 양질의 공중 보건, 교육 및 돌봄 서비스에 대한 보편적 접근을 보장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우리나라의 돌봄서비스는 어떤 수준일까? 일각에선 돌봄서비스가 지나치게 민간에만 맡겨져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0·29 국제돌봄의날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기준 전체 장기요양기관 중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한 기관은 0.9%(256곳)에 불과했다.
김흥수 공공운수노조 부위원장은 28일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는 서울시사회서비스원 해산을 승인하며 공공돌봄을 위축하고 서울시의 이주 가사노동자 시범사업은 여러 논란을 낳고 있다”며 “공적 돌봄체계가 부족한 상황에서 결국 여성이나 청년 등 우리 사회 특정 구성원에게 돌봄 책임이 집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조직위는 돌봄 정책에 국가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며 ▲돌봄 중심 사회로 전환 ▲국가가 책임지는 돌봄 공공성 확보 ▲돌봄노동 가치 재평가와 돌봄노동자 처우개선 ▲돌봄권 보장 등 4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이어 “ILO 협약비준이 그 나라의 사회수준 지표”라며 ILO 189호(가사노동자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 협약의 비준도 요구했다.
올해 3월 제정되어 2026년 3월 시행 예정인 「의료·요양 등 지역 돌봄의 통합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해당 법률은 노인이나 장애인 등 돌봄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행정적 지원 책무를 명시한 법이다. 지역사회 통합돌봄이란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 시설이나 기관이 아닌 살던 곳, 즉 집에서 건강한 생활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 정부가 추진하는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법안의 취지에서 멀어지고 있다.. 이재훈 사회공공연구원 연구실장은 ‘제대로 된 돌봄통합지원 시행을 위한 비판적 모색’ 토론회에서 “문재인 정부 때 추진한 사회서비스 구조 개편을 전제한 지역사회 통합돌봄은 윤석열 정부 들어서 노인에게 의료와 요양을 통합 제공하는 사업 수준으로 축소됐다”며 “의료·돌봄 시장화 정책을 적극 펴면서 오히려 민간시장 활성화를 부추기고 있다”고 비판했다.
법조계에선 돌봄의 대상을 한정해 법률의 효과가 제한되었다는 지적이다. 공익인권법재단 공감의 강은희 변호사는 “돌봄 대상자 욕구에 맞는 지자체의 다양하고 통합적인 지원이 가능하다는 의의가 있다”라며 “하지만 해당 법은 대상자를 노인이나 장애인으로 한정해 우리 사회 구성원 누구나 돌봄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제적 추세에 맞춰 돌봄노동자의 권리향상을 위한 움직임도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국회의원은 노동시민사회단체와 「돌봄노동자 권리보장 및 처우개선 등에 관한 법률안」의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법안의 주요 내용은 ▲국가와 지자체 등이 돌봄노동자 처우개선, 돌봄서비스 공공성 강화 등을 위한 시책을 수립하도록 하고, ▲돌봄노동자 처우개선위원회를 설치해 3년마다 처우개선계획을 수립하도록 하며, ▲돌봄노동자의 최소노동시간, 적정임금을 보장하기 위한 대기수당 등을 도입하는 것이다.
이 의원은 “이는 돌봄노동자의 권리향상을 위한 최초의 법안”이라며 “국가가 법률에 의해 돌봄노동자를 고용하고도 근로기준법조차 적용되지 않는 열악한 돌봄노동자의 권리와 처우를 향상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호경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 제4회 2030청년영화제, 청년의 존재를 묻다 (0) | 2024.10.29 |
---|---|
젠더 갈등 휘말린 네이버 웹툰, 혐오표현 방지vs창작의 자유 논쟁 (6) | 2024.10.29 |
일본 "한국이 다케시마 불법 점거" 교육 강화, 한국은 독도 교육 미미 (1) | 2024.10.25 |
인천공항, 연예인 출국시 별도 출입문 허용에 누리꾼 갑론을박 (1) | 2024.10.24 |
악성 민원인에 시달리는 일선 공무원들, 미국 일본에는 왜 드물까 (1)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