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배출권거래제’에 대한 공청회를 앞두고 시민단체들이 ‘오염자 부담 원칙’을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환경부는 오는 27일 ‘제4차 배출권 기본계획(안) 및 제3차 배출권 할당계획 변경(안) 공청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공청회는 배출권 할당 대상 업체와 협회 등 관계자는 물론 일반 국민도 참석이 가능하다. 현장 참석 외에 온라인으로도 공청회를 시청할 수 있으며, 의견도 제출 할 수 있다. 국민신문고 전자공청회 및 환경부 유튜브 라이브 중계를 통해서 실시간 의견 제출이 가능하며 우편 또는 전자우편으로도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시행되는 제4차 배출권 기본계획은 국가 전체 배출량의 약 73%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해당 제도의 강화 여부에 따라 우리나라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의 달성이 좌우될 수 있어, 환경·시민단체들은 이번 발표 내용에 주목하고 있다.
배출권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제8조에 따른 중장기 NDC 달성을 위해 설정된 온실가스 배출허용총량의 범위에서 개별 업체에 할당되는 배출허용량이다. 정부는 배출권거래제를 도입하며 시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다며 할당 대상 업체들에게 무상으로 배출권을 나눠줬다. 이후 차츰 유상할당 비중을 늘리고는 있지만 3차 계획 기간인 현재 비중은 유상할당 대상 업종 내 10%에 불과하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배출권거래제 3차 계획기간인 2021~2023년에만 기업의 잉여배출권이 총 7451만 톤(t)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국가 배출량(6억2420만 t)의 12% 규모로, 금액으로는 1조4082억 원에 달한다.
시민단체는 3차 계획기간이 종료되는 2025년까지 막대하게 쌓인 잉여배출권이 4차 계획기간으로 넘어간다면, 배출권거래제가 제대로 작동하기 어렵다고 지적한다. 이에 환경단체연합은 배출권거래제를 강화해야 한다며 촉구하고 나섰다.
환경부는 이러한 의견을 받아들여 지난 4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기존에는 할당량 대비 배출량 감소가 50% 이상인 경우에만 할당이 취소됐지만, 내년에 시행될 개정안에는 할당량 대비 배출량 감소가 15~25%, 25~50%, 50% 이상 감소할 경우 차등 적용해서 할당취소를 적용할 예정이다.
일각에선 개정안 역시 배출량의 감소 정도에 따라 할당량의 절반만 회수하는 등 할당된 배출권을 전량 회수하는 유럽연합(EU)에 비해 규제가 약하다고 지적한다.
현재 한국 배출권거래제 가격은 너무 저렴해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등 글로벌 탄소 관세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정도다. EU는 해당 품목을 수출하는 기업들이 생산국에서 지불한 탄소 배출권 비용을 상쇄해주는데 한국 배출권 가격은 유럽연합 배출권 가격의 약 10분의 1에 불과해 많은 관세 비용을 추가 지출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환경운동연합은 “배출권거래제 강화를 통해 현재 1만원/t에 불과한 배출권 가격이 정부의 탄소중립기본계획에 따른 6.4만원/t으로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라고 설명한다.
국회도 배출권거래제의 폐단을 주목하고 있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배출권거래제가 ‘대기업 봐주기’ 식으로 운영되면서 배출에 책임을 져야할 기업들이 공짜 배출권을 팔아 돈을 벌고 있다”며 “배출 허용총량을 줄이고 유상할당을 강화하는 등 모든 정책 수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유호경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숙인 사회 복귀, 지속가능한 정책이 필요하다 (0) | 2024.11.29 |
---|---|
정우성 문가비 '혼외출산'이 한국 사회에 던진 질문 (0) | 2024.11.27 |
[지구를 살리는 기업] 해외에서 인정받는 로우카본의 탄소포집 기술 (0) | 2024.11.27 |
전세사기로부터 세입자 보호, 법 개정 시급하다 (1) | 2024.11.27 |
[임순만 칼럼] 하트 하트 오케스트라를 아시나요? (2)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