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FXlFG/btsL6RKtyJC/kE5X0GLAVwZYmFg73plZ01/img.jpg)
= 픽사베이
[이코리아] 중국이 인공지능(AI), 양자 컴퓨팅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을 빠르게 따라잡고 있다. AI 분야에서는 중국 스타트업이 내놓은 AI 모델 딥시크(DeepSeek)가 기존 AI 모델보다 저렴한 개발비로 높은 성능을 보이며 글로벌 AI 경쟁의 판도를 변화시키고 있으며, 최근 양자 분야에도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며 추격에 나섰다.
미국 정보혁신재단(ITIF)에 따르면 중국은 양자 기술에 150억달러(약 22조 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는 미국에 뒤쳐져 있지만 양자 통신 분야에서는 세계적으로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양자 감지에서는 미국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술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공공 부문 투자 규모에서는 미국을 압도하고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bPNPbI/btsL80yVODr/CLyb40LWm2qDF9hOrt41l0/img.jpg)
= 채텀하우스 누리집
중국의 빠른 기술 성장은 최근 서방에서 경계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영국의 싱크탱크 채텀하우스는 지난달 29일 중국의 기술 리더십이 현실화되고 있으며, 서방이 이에 대해 더 적극적인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내놓았다.
채텀하우스는 딥시크의 신형 모델이 미국 주요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경쟁력을 갖추었으며, 비용 효율성에서도 강점을 보이고 있다고 바라봤다. 또 이에 따라 중국의 AI 및 양자 기술 발전이 단순한 서방 기술 복제 단계를 넘어서 혁신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전통적으로 서방 주도의 영역이었던 전기차(EV), 배터리, 원자력 및 핵융합 에너지에서도 중국이 글로벌 리더십을 구축하고 있다고도 바라봤다.
채텀하우스는 미국과 동맹국들이 중국의 기술 발전 속도를 과소평가하면 안 되며, 전략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중국이 AI 및 양자 기술뿐만 아니라 국방 기술과 민간 기술을 결합하는 군민융합 전략 을 강화하면서 서방과의 기술 격차를 좁히고 있으며, 미국이 기술 패권을 유지하려면 제조 역량 강화와 장기적인 에너지 전략 수립이 필수적이라고 경고했다.
미국 국방부가 발표한 2024년 중국 군사 및 안보 발전 보고서에서도 중국은 군사-민간 융합 전략을 통해 AI, 양자 기술, 생명공학을 국방 기술로 적극 활용하려 시도하고 있다고 바라보고 있다. 특히 AI 기반의 ‘알고리즘 전쟁’ 및 양자 감지 기술을 활용한 잠수함 탐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중국의 AI 발전을 강하게 억제하던 미국은 양자 분야에서도 규제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부터 중국의 양자 연구 기관에 수출 통제를 가하고 있으며, IBM과 구글 등 미국 기술 기업들은 양자 컴퓨터 분야에서 신기술을 개발하며 중국의 추격을 뿌리치려고 시도 중이다.
국내 상황은 어떨까. 정부는 최근 딥시크 파장에 대응하기 위해 AI 컴퓨팅 인프라의 확보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4일 '2025년도 과기정통부 핵심과제 추진상황' 브리핑에서 기존의 목표인 2030년까지 GPU를 3만장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상향해 2027년 초까지 목표를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대학, 연구소, 연구소에서 GPU의 수요에 목말라하는 만큼, 정부가 나서서 선제적으로 이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것이다. 또 유럽의 다자간 연구프로그램 '호라이즌 유럽'을 벤치마킹해 일본과 비슷한 프로그램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양자 분야에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놓은 글로벌 R&D(연구·개발) 전략지도에 따르면 한국은 AI 분야에서는 부문에 따라 4~6위, 첨단 바이오 분야에서는 7, 9, 11위를 차지했으나 양자컴퓨터, 양자통신, 양자센서 등 양자 분야에서는 조사 대상이 된 주요국 중 12위를 차지했다.
양자컴퓨터 분야에서는 미국이 100점으로 1위, 중국은 35점으로 2위를 차지했으며 독일(28.6점), 일본(24.5점)이 뒤를 이었으나 한국은 2.3점이 매겨졌다. 양자통신과 양자센서 분야에서도 미국과 중국이 각각 1,2위를 차지했으며 한국은 꼴찌인 12위에 위치했다.
정부는 올해 양자과학기술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198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고 ‘양자과학기술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시작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난해 말 출범 예정이었던 '양자전략위원회'의 경우 계엄사태의 여파로 중단되어 리더십 공백을 겪고 있는 만큼,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하루빨리 양자전략위를 출범시켜야 한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현기호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I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방국가들, 딥시크 금지령 확산 왜? (1) | 2025.02.05 |
---|---|
딥시크 급부상에 반격 나선 오픈AI (0) | 2025.02.05 |
삼성 · LG, 'ISE 2025'서 선보인 최신 디스플레이 기술 (0) | 2025.02.05 |
빅데이터 산업트랜드 콘퍼런스 “AI시대의 빅데이터를 논하다.” (0) | 2025.02.03 |
자서전 펴낸 빌 게이츠, 암호화폐 등 각종 현안에 대한 생각은?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