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

특허는 많은데 인재유출 심각...한국 AI 현주소는?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4. 17.
728x90
= 스탠포드대 누리집

 

한국이 AI 관련 보유 특허 수가 풍부하며 인재 집중도도 높지만, 인재 해외 유출이 심각하고 민간투자 지표 역시 주요국에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스탠퍼드대 '인간 중심 AI 연구소'(HAI)는 현지시간 15일 연례 AI 보고서 'AI 인덱스 2024’를 발표했다.

 

AI 인덱스는 스탠퍼드대가 매년 AI와 관련된 데이터를 추적, 수집, 추출 및 시각화해 발표하는 보고서다. 연구소는 정책 입안자, 연구자, 경영진, 언론인, 일반 대중이 복잡한 AI 분야를 보다 철저하고 미묘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편향되지 않고 엄격하게 검증된 광범위한 출처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고 밝혔다. 

 

또 올해의 보고서는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원본 데이터를 바탕으로 AI 교육 비용에 대한 새로운 추정치, 책임 있는 AI 환경에 대한 상세한 분석, 과학과 의학에 대한 AI의 영향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장을 소개한다고도 덧붙혔다.

= 보고서 갈무리

 

몇몇 수치에서 한국은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2022년 기준 인구 10만 명당 AI 특허의 수는 10.26으로 조사 대상국 중 1위를 차지했다. 이는 룩셈부르크(8.73), 미국(4.23), 일본(2.53)보다 높은 수치다. 또 비즈니스 소셜 네트워크 링크드인을 기반으로 측정된 AI 인재 집중도 역시 0.79%로 이스라엘, 싱가포르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한국의 AI 분야에 대한 민간투자 금액 규모는 조사 대상 국가 중 9위를 차지했다. 미국의 경우 672억 달러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72억 6천만 달러의 중국, 37억 8천만 달러의 영국이 이었다. 한국은 13억 9천만 달러 규모로 인도와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또 직업 전반에 걸쳐 엔지니어가 보유한 AI 기술의 상대적인 수준을 나타내는 ‘AI 기술 보급률’ 척도에서도 한국은 1.35로 9위를 차지했다. 인도(2.75)와 미국(2.22)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한편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AI 부문의 인재 유출과 파운데이션 모델의 부재의 문제가 지적된다. 먼저 한국은 링크드인 기준 AI 인재 이동 지표가 –0.3을 기록했는데 이는 한국을 빠져나가는 AI 인재가 한국에 들어오는 인재보다 더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0.76을 기록한 인도와 –0.57을 기록한 이스라엘 역시 인재 유출 문제가 심각하며 룩셈부르크(3.67)와 아랍에미리트(1.48) 은 가장 높은 인재 유입을 기록했다.

 

또 HAI는 전 세계의 파운데이션 모델 중 주목할 만한 모델 108개를 선정했는데 이 중 61개는 미국, 15개는 중국의 모델이었으며 그 외에 프랑스, 이스라엘, 싱가포르, UAE, 이집트의 모델들이 선정되었으나 한국의 AI 모델은 0개가 선정되었다. 이에 대해 연구소는 “전 세계 AI 생태계를 조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한국이나 중국과 같은 특정 국가의 모델을 과소 평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라며 조사에 한계가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는 17일 해당 보고서에 우리나라의 AI 개발 사례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는 반박 자료를 내놓기도 했다. 과기정통부는 “우리나라의 경우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LG의 ‘엑사원’, 삼성전자의 ‘가우스’, 코난테크놀로지의 ‘코난 LLM’, 엔씨소프트의 ‘바르코’ 등 다수의 독자 파운데이션 모델을 보유한 상황이다.”라며 향후 우리나라 기업들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파운데이션 모델이 추후 ‘AI 인덱스’ 보고에 제대로 포함될 수 있도록 스탠포드대와 적극 협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정부는 현재 민·관의 역량을 결집해 미국, 중국에 이은 AI G3 강국 도약을 위한 ‘AI-반도체 이니셔티브’를 수립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도 덧붙혔다. 해당 전략은 혁신·산업·사회·제도 등 4가지 분야의 핵심 정책과제와 추진방향을 담은 계획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AI 기술혁신 ▲AI 역동경제 실현을 위한 전산업 AI 대전환 ▲국민 일상에 선도적 AI 도입 ▲디지털 심화의 온전한 수용을 위한 디지털 신질서 정립 네 가지 과제를 골자로 한다.

 

 

 

현기호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