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국, 중국산 커넥티드카 수입 금지 검토, 현대차에 미칠 영향은?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5. 14.
728x90
[사진-제네시스의 디지털시스템, 출처-현대자동차]

 

미국이 대중제재의 강도를 더욱 올리고 있다. 미국이 배터리에 이어 중국산 커넥티드카(Connected Car) 규제 의사를 내비치면서, 우리나라 정부와 자동차업계는 규제의 범위가 어떻게 설정될지 촉각을 세우고 있다.

 

커넥티드 카는 자동차의 소프트웨어에 무선 네트워크를 결합한 것으로, 양방향 인터넷, 모바일 서비스 등이 가능한 차량을 말한다. 커넥티드 카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자동차와 무선으로 연결하여 시동을 켜고 끄거나 히터, 네비게이션 등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날씨나 뉴스 등의 정보 수신도 가능하다. 최근에는 차량 원격 진단 및 무선(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차량 내 간편결제, 비디오·오디오 스트리밍 등도 가능해지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커넥티드카의 이러한 기능을 악용한 사례가 발생해 논란이 됐었다. 상습 가정 폭력을 행하던 남편이 테슬라의 스마트폰 위치 추적과 문 잠그기 등 원격 기능을 사용해 부인을 실시간 추적하며 스토킹한 것. 이것은 커넥티드 카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일깨워 준 사례가 되었다. 

 

미국은 대외적으로는 자국민의  데이터를 중국이 수집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이유를 들고 있다.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8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우리의 최첨단 반도체, AI, 양자, 다른 기술에 접근할 수 없도록 통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매일 고심하고 있다”라며 “중국산 커넥티드카에 대해 수입 금지 등 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산 기술·부품을 쓴 커넥티드카는 수입을 제한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격 공세로 전기차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견제’라고 말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전 세계 등록된 전기차(플러그인하이브리드 차량 포함)의 총판매량은 313만9000 대로, 중국이 1분기 전체 전기차 판매의 56%를 차지하며 시장을 이끌었다. 기업별로 중국 BYD는 9.9% 늘어난 58만 대를 팔며 1위를 차지했다. 점유율은 18.5%였다.

 

우리나라 정부와 자동차업계는 규제의 범위를 주목하고 있다. ‘커넥티드카’라는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미국이 규제하고자 하는 것이 중국산 기술인지 볼트, 너트와 같은 부품에 관한 부분인지에 따라 자동차업계가 받는 영향이 달라진다. 이에 우리나라 정부는 지난달 30일 미국 상무부에 “커넥티드 차량 공급망 조사에 따른 불확실성이 업계 부담이 될 수 있다. 명확한 정의를 내려달라”는 의견서를 미국에 제출했다. 

 

현대자동차· 기아는 지난 4월 중국 빅테크 바이두와 손잡고 중국 커넥티드카 시장 공략을 위해 ‘중국 커넥티드카 전략적 협력 MOU’를 맺기도 했다. 현대차그룹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 “커넥티드카엔 배선과 볼트 등 다양한 부품이 들어간다. 일부 하드웨어·소프트웨어로 한정해달라”는 의견을 냈다.

 

업계는 당장 국내 완성차 업체들이 받게 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보면서도, 규제가 지속되고, 범위가 자율주행 기능과 관련한 무선 이동통신 부품까지 커질수록 상황은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한다.

 

한편 러몬도 미 상무장관은 8일 하원 청문회에서 중국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미국의 투자를 제한하는 규정을 올해 말까지 완성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호경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