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해상풍력발전 가로막는 국방부 규제, 美英은 대못 뽑고 협력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6. 17.
728x90

 

사진은 제주시 한경면 두모리에 위치한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전경. 사진=두산중공업

 

기후변화 대응으로 글로벌 해상풍력이 대두되는 가운데 국방부의 규제가 국내 해상풍력 발전 확대를 가로막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비영리단체 기후솔루션은 17일 ‘해상풍력 발전기 500 피트 고도 제한 현황과 과제’ 보고서를 내고 여러 정부 기관이 합심해 안보와 기후 대응의 가치를 모두 고려한 합리적 개선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분석했다. 

 

국방부는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구역 등 관리훈령’ 제11조 제2항에 따라 군사기지 및 군사시설 보호구역 내의 재산권 행사 시 군사작전 등에 미치는 영향과 해소 대책을 검토한다. 하지만 해상풍력 발전의 경우 구체적 근거 제시 없이 퇴짜만 놓고 있는 상황이다. 150여m가 넘는 해상풍력 발전기의 블레이드가 돌면서 군 레이더를 간섭해 불필요한 신호를 보내거나 블레이드 뒤의 물체를 식별하지 못하게 만든다는 점이다. 

 

현재 글로벌 해상풍력 발전기는 빠르게 커지고 있다. 발전기 날개가 길수록 같은 바람에서도 보다 효과적인 전력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미국 에너지부 자료에 의하면, 2022년 상업운전 중인 해상풍력 발전기의 평균 높이는 204m에 달했다. 우리 군의 규제 기준에 비해 50m 이상 높다. 150m는 12년 전인 2012년 해상풍력 발전기 평균 높이에 불과하다.

 

실제로 2022년 제주, 인천, 전라남도 신안 등지의 해상풍력 사업이 이런 군의 규제 문제에 봉착했다. 이는 해상풍력 발전 사업 시 받아야 할 29개에 달하는 인허가 가운데 하나로, 이런 규제를 모두 통과한 사업은 2023년 1월 기준으로 지난 10년 동안 4개에 불과한 실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국내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받은 48개 사업 중 46개의 사업이 5MW(메가와트)급 이상의 발전기 설치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MW급 이상의 발전기 높이는 평균 170m이다. 즉 군 작전성 검토를 거쳐 통과 가능한 해상풍력 사업은 2개에 불과한 것이다. 

 

보고서 저자인 이예진 기후솔루션 재생에너지인허가팀 연구원은 “국가 안보는 중요한 가치로서 필요한 규제라면 마땅히 지켜야 하지만, 현행 규제는 입지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과도하고, 에너지 전환 추세에도 뒤떨어져 있다”고 지적했다. 

 

영미권 등 해상풍력 산업이 발달한 해외에선 이미 다양한 기술적인 해법을 시도 중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영국은 산업과 관계부처가 방공 및 해상풍력단지 저감 태스크포스를 꾸려 풍력 발전기와 방공 및 레이더 시스템의 장기적 공존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 역시 여러 관계부처가 협력하는 풍력 터빈 레이더 간섭 완화 실무그룹(WTRIM)을 만들고 차세대 레이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호주의 경우, 작전 지역의 특성에 맞게 일부 지역에서 발전기 고도 제한을 853피트(260m)로 높게 허용하는 융통성을 보여주었다.

 

국방부를 제외한 정부부처 역시 이런 규제 개혁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민권익위원회는 2018년 해당 규제가 국민의 재산권 행사를 과도하게 침해한다는 이유로 국방부에 제도 개선을 권고한 바 있다. 또 기획재정부는 2023년 6월 ‘제7차 경제 규제혁신 전담반(TF)’ 회의를 열고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을 위한 군 작전 제한사항 해소방안 마련을 주문했다. 국무조정실도 최근 500피트 고도 제한을 과도한 입지 규제로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다만 여러 언급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구체 계획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이예진 연구원은 “관계부처가 뜻을 모은다면 해상풍력과 군 작전성은 충분히 공존할 수 있다”며 “기획재정부, 국무총리실 등 여러 부처를 조율할 수 있는 단위가 협력을 주도하고, 에너지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 해상풍력 보급의 물꼬를 트는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수은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