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282

[4.10 총선] 여야 게임 공약 ‘e스포츠’에 편중, 게임산업 진흥책 부재 총선을 앞두고 양당이 다양한 분야에서 공약을 내놓은 가운데, 여야의 게임 관련 공약에 게임 이용자들의 시선이 쏠린다. 최근 게임 이용자들의 정치와 게임 관련 정책에 관한 관심은 높아졌다. 지난 2022년에 국회 국민 동의 청원에 올라온 게임물 사전심의 의무 폐지 청원은 6일 만에 청원 목표 5만 명을 돌파했다. 또 지난 22년에는 국회 앞에서 300명을 목표로 열린 ‘게임물 관리 위원회 비위 의혹 규명을 위한 감사원 국민 감사청구 연대 서명’에 5천 명 넘는 게임 이용자가 서명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처럼 게임 이용자들이 게임 관련 정책을 주시하는 상황에서 각 당은 어떤 게임 관련 공약을 내놓았을지 살펴봤다. 우선 여야의 정책공약집에서 게임 관련 공약은 대부분 e스포츠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 여당인 국민의.. 2024. 4. 1.
주요 기술 기업, 선거 앞두고 딥페이크 등 허위 정보 차단 총력전 올해는 미국에서 대선이 치러지는 등 전 세계에서 중요한 선거가 잇따라 예정되어 있다. 전 세계 총인구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40억 명이 투표를 치르게 된다는 분석도 나온다. 그런데 AI 기술이 최근 급격히 발전하며 딥페이크 등 AI로 만들어진 허위 정보가 민주주의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기술 기업들이 스스로 허위 정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책임론이 부상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주요 기술기업들은 잇따라 선거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오픈 AI는 챗 GPT와 같은 자사의 AI 서비스가 선거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허위 정보 방지 대책’을 발표해 정치 캠페인과 로비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는 것을 금지하고 챗 GPT가 선거와 관련된 대화에 응.. 2024. 4. 1.
빅테크 등 국내 IT기업, 글로벌 AI 동맹 구축 활발 다양한 분야에서 기업 간의 AI 협업이 이어지고 있다. 소수의 빅테크가 AI 산업을 장악한 상황에서 동맹을 통해 서로 비전을 공유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AI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엔씨소프트는 구글 클라우드와 AI•클라우드 비즈니스 협력을 추진한다. 엔씨소프트는 지난 2011년부터 AI 전담 조직을 출범해 관련 기술을 개발해 왔으며 국내 기업 중 네이버, 카카오와 통신 3사에 이어 6번째로 자체 AI 언어모델을 보유한 기업이기도 하다. 엔씨는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와 마크 로메이어 구글 클라우드 AI 및 머신러닝 인프라 부문 부사장 등 양사간 협업 분야 대표 임원진이 현지시간 26일 미국 캘리포니아 마운틴뷰에 위치한 구글 본사에서 만났다고 밝혔다. 양사는 클라우드와 AI 분야의 글로벌 협업 .. 2024. 3. 28.
통신 3사들 3만원대 5G 요금제 제공...차별점과 통신비 절감 효과는? 27일 SKT와 LG 유플러스가 잇따라 3만 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하며 이동통신 3사가 모두 저가 5G 요금제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세 통신사가 각각 다른 서비스를 지원하는 점도 눈에 띈다. SKT는 데이터 사용량을 모두 소진했을 때 고객이 필요에 따라 데이터를 충전할 수 있도록 데이터 충전 서비스를 제공하며 LG 유플러스는 육아가구에 별도의 혜택을 지원한다. 지난 1월 한발 앞서 3만 원대 5G 요금제를 출시한 KT는 월 데이터 이용량이 불규칙한 고객을 위해 당월 내 미사용 데이터를 다음 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월 요금제를 선보인 바 있다. 이통 3사의 전환지원금이 일제히 인상된 만큼, 이용자들이 자신에게 필요한 서비스에 따라 통신사를 변경하며 번호이동이 활발해질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S.. 2024.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