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3 디지털 디바이드發 금융소외 확대, 해법은? 금융권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비대면 금융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의 금융소외 현상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고령자를 위한 은행 앱 ‘간편모드’ 출시 등 금융소외 대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디지털 금융소외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금융거래가 일상화되고 인터넷전문은행이 입지를 넓히면서 온라인 금융 앱 등의 사용률은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말 기준 인터넷뱅킹(모바일 포함) 등록고객 수는 2억704만명으로 코로나 전인 2019년 말(1억6391만명) 대비 4313만명(26.3%) 증가했다. 일평균 인터넷뱅킹 이용건수는 1971만건, 이용금액은 76조3388억원으로 같은 기간 각각 55.0%, 56.. 2024. 9. 10.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어디까지 왔나 전 국민의 보편적 건강 보장을 강조하는 ‘헬스케어 4.0 시대’를 맞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질병의 예방·진단·치료, 건강관리를 돕는 헬스테크의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외 기업들이 디지털 헬스케어를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낙점하며 개발과 투자가 한창이다. 글로벌 시장 조사업체 그랜드뷰리서치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의 세계 시장 규모는 지난해 2409억 달러(약 332조6347억 원)로 추산되었으며, 2024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21.9%의 성장률(CAGR)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디지털헬스산업협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매출은 총 5조7000억 원이다. 사업 분야별 매출 분포는 의료용 기기(34.4%), 디지털 의료 및 건강관리 지원 .. 2024. 7. 4. 디지털 전환, 의류산업 생태계 바꾼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제4차산업혁명을 선도할 다양한 기반기술로 기업의 조직, 비즈니스 모델 및 산업 생태계를 혁신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험난한 과정을 의미한다. 디지털전환은 과거부터 진행되는 전사적 자원관리(ERP)나 제조실행시스템(MES)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ERP나 MES도 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상당히 높여주었으나, 디지털전환은 고객에게 완전히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며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탄생시키도 한다. 지난달 17일 코엑스 스타트업 브런치에서는 섬유패션 산업에서의 디지털전환에 대한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이글에서는 비교적 느리게 움직이는 섬유업계에서 마저 불어닥치는 디지털전환의 새로운 바람에 대하여 살펴본다. 섬유업계.. 2024. 1.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