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G에너지솔루션8

LG에너지솔루션, 글로벌 ESS 시장 새 강자로 부상 사진은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브로츠와프 공장 전경. 사진=LG에너지솔루션​[이코리아] LG에너지솔루션이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서 중국 배터리 업체들을 따돌리고 일본 및 유럽 기업들과 대형 수주를 잇달아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 둔화에 대응해 ESS 사업에 집중한 전략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16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일본 주요 전자기업과 2GWh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ESS 배터리 공급 계약을 최종 조율 중이다. 계약 규모는 수천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또한 유럽 기업과도 1~2조 원 규모의 ESS 배터리 납품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이번 수주 성사 시 LG에너지솔루션은 중국 업체들이 주도하던 ESS 시장에서 유럽·.. 2025. 4. 17.
구광모 일성에 LG에너지솔루션 주가 상승, 향후 전망은? ​[이코리아] LG그룹 구광모 회장이 배터리 사업을 그룹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구 회장은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 LG트윈타워에서 열린 ㈜LG의 제63기 정기 주주총회에서 서면 인사말을 통해 "글로벌 경기 침체와 대내외 불확실성이 심화하는 상황에서도 미래 성장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구 회장은 신성장 동력의 핵심으로 ABC(AI·바이오·클린테크)를 강조했다. 구 회장은 "배터리 사업은 미래 국가 핵심 산업이자 그룹의 주력 사업"이라며, "이를 위해 시장과 기술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공정기술 등에서의 혁신 방안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불황 속 배터리 사업 전략적 투자 지속​지난해 LG그룹은 글로벌 경기 침체.. 2025. 3. 27.
'인터배터리 2025' 미리보기... 주목할 기술은? 사진=LG에너지솔루션​[이코리아]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5’가 오는 3월 5일부터 7일까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된다. ​25일 한국배터리산업협회에 따르면, 이번 전시회는 역대 최대 규모로 총 688개 기업이 참가하며 2,330개의 부스를 운영할 예정이다. ​특히, 글로벌 배터리 시장 2위인 중국의 BYD(비야디)와 5위인 EVE(이브)가 처음으로 참가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전시회에는 총 79개의 중국 배터리 기업이 참가하며, 전년 대비 17개 증가한 수치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LFP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한국과 해외 기업 간의 기술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음을 반영한다.​또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도 46시리즈 원.. 2025. 2. 26.
ESS 설치 의무화한 나라들, 국내기업의 ESS 사업 전망은? [사진-한국전력에 설치된 336MW(메가와트) 용량의 에너지저장장치(ESS). 출처-한국전력]​[이코리아] 국내 전기차 배터리 3사의 작년 글로벌 시장 점유율이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 배터리 3사 모두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 눈을 돌리며 집중하고 있다.​에너지 전문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의 2024년 1~11월 글로벌 시장 점유율은 총 19.8%를 기록했다. 2021년까지 30%대에 달했던 국내 배터리 3사의 시장 점유율은 2022년 24.4%로 내려오더니 2024년엔 처음으로 10%대로 내려섰다. ​점유율이 줄어든 건 중국 배터리 기업의 가파른 성장세 때문이다. 중국은 안정적인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시장을 신흥국으로 확대하면서 성장세를 이어.. 2025.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