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유해 도서 선정 기준, 한국과 미국의 차이는?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12. 27.
728x90

[픽사베이]

[이코리아] 미국에선 최근 몇 년간 정치적 당파성이 강화되면서 주 정부 차원에서 도서관에서 책을 제거하는 행위를 금지하기 위한 「반도서 금지법(anti-book ban law)」을 제정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지난 9일(현지 시각) 뉴저지주는 ‘도서관 자료의 출처, 배경 또는 견해, 저자’ 등을 근거로 학교 도서관에서 책을 제거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반도서금지법」을 제정했다. 미국 일리노이주, 캘리포니아주, 미네소타주, 메릴랜드주에 이어 5번째다. 뉴저지 필 머피 주지사는 “반도서 금지법은 도서 금지를 방지하고 교육자와 학생의 지적 자유를 보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일부 공화당 성향 주에서의 도서 금지 조치가 확산하면서 일어나고 있다. 국제 문인 단체 ‘펜'(PEN)’의 미국 지부인인 ‘펜 아메리카’는 지난 11월 “2023~24년에 금지된 도서관 책이 1만46건으로 이전의 3362건에 비해 늘어났다”라며 “가장 흔히 표적이 된 책은 유색인종이나 성 또는 성 관련 주제를 언급하는 내용이었다”라고 밝혔다.

민주당 의원들은 도서 금지가 종종 성 소수자 커뮤니티와 기타 소외된 계층을 차별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공화당 의원들은 일부 제목에 음란물이나 음란한 이미지가 포함되면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펜 아메리카는 “공화당 성향의 플로리다주와 아이오와주가 2023~24년에 도서 금지 조치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라고 말한다.

올해 일리노이주의 공공 도서관들은 도서 금지 원칙을 채택하거나 주정부 보조금을 포기하는 선택권을 가졌다. 일부 도서관에선 “학교가 그 책들에 어떤 종류의 내용이 있는지에 대한 권한을 갖는 것이 상식적이고 합리적”이라며 “만약 부적절한 것을 알게 된다면, 학교는 그것들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라며 보조금을 포기하는 곳도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청소년 유해도서 지정에 대한 기준에 대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지난 10월 한강작가가 노벨 문학상 수상자로 선정되면서 한강 작가의 작품이 청소년 유해 성교육 도서 목록에 포함되어 학교도서관에서 폐기되었다는 지적이 나왔기 때문이다.

당시 경기도 교육청 담당자는 <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경기도 교육청은 도서에 대해 각 학교에서 학부모가 포함된 학교도서관 운영위원회 판단을 통해 자율적이고 균형적인 관리를 지원하고 있다.”라며 “특정도서를 유해 도서로 지정하고 폐기를 지시한 적이 없다.”라고 답했다.

다만, “지난해 11월 학생들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을 위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내용이 포함된 도서에 대해서는 학교도서관 운영위 협의에 따라 적합한 조치를 하도록 요청했다”라고 말했다.

학교 도서관이 아닌 지역도서관의 경우 유해 도서에 대한 기준을 어떻게 선정하는 것일까. 경기도의 지역도서관 도서 구매담당자는 <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출판문화산업기능법에 따라 유해 도서같이 청소년 정서에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자료들은 구매하지 않고 있다”라고 말했다.

간행물윤리위원회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기구로서, 만화책, 일반서적, 잡지 등 인쇄 간행물과 전자 출판물을 검열하는 기관이다. 국내외에서 발행된 소설, 화보 등 도서, 만화, 전자 출판물 및 정기간행물 등의 유해성 여부를 심의 결정한다.

 

 

 

유호경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