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탄소중립포인트에너지 누리집 갈무리]
[이코리아] 정부가 내년 탄소중립포인트제(녹색생활 실천분야)’의 항목을 확대하여 국민의 참여를 높일 계획이다.
‘탄소중립포인트제’는 일상 속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시 현금처럼 사용가능한 포인트를 제공하는 전국민 온실가스 감축 실천 제도다. 2009년 ‘탄소포인트제’로 시작하여 2020년 자동차 주행거리 감축, 2022년 녹색생활 실천분야를 추가해 2023년부터는 ‘탄소중립포인트제’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탄소중립포인트제에 가입한 국민이 올해 12월 말 기준으로 180만 명을 넘어섰다. 3년 만에 2022년 도입 첫해 가입자인 26만 명에 비해 약 7배 늘어난 것이다. 관련 혜택(포인트) 지급예산도 2022년 24.5억 원에서 올해 148억 원으로 늘어났으며, 3년간 총 262억여 원이 포인트로 지급됐다.
녹색생활 실천분야의 경우 10개의 실천항목을 지정하고 있으며, 실천 시 현금, 포인트, 모바일 페이 등으로 1인당 연간 최대 7만 원을 지급하고 있다. 개인에게만 혜택이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소상공인의 경우 다회용컵(텀블러) 및 다회용기 이용 실적에 따라 점주에게도 연간 최대 15만 원까지 지급하고 있다.
* (10개 항목) ①전자영수증 발급(100원/건), ②텀블러·다회용컵 이용(300원/개), ③일회용컵 반환(200원/개), ④되채우기매장(리필스테이션) 이용(2,000원/회), ⑤다회용기 이용(1,000원/회), ⑥무공해차 대여(100원/km), ⑦친환경제품 구매(1,000원/건), ⑧고품질 재활용품 배출(100원/kg), ⑨페휴대폰 반납(1,000원/개), ⑩미래세대 실천행동(초·중·고 대상)
특히, 지난 9월에 출시된 모바일 앱인 ‘카본페이’는 탄소중립포인트제의 참여 및 이용 편의성을 대폭 개선해 현재 1만 회 이상 내려받을 정도로 기존 이용자뿐 아니라 신규 가입자 확대에 도움을 주고 있다. 앱 사용자들은 “탄소중립 포인트가 모일 때마다 PC로 확인하고 관리해야 해서 불편한 점이 많았는데, 주변 매장도 볼 수 있고 포인트 적립명세도 바로 볼 수 있어 편리하다”라며 “더 적극적으로 실천하겠다”라는 칭찬 글을 자주 볼 수 있다.
환경부는 2025년 청년세대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공영자전거 이용’과 ‘잔반제로 실천’ 항목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참여을 독려하는 것과는 다르게 내년도 탄소중립포인트제 예산은 올해와 같은 148억 원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담당자는 <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올해 예산확보를 위해 많은 노력을 했지만 결과적으로 작년과 같은 예산을 확보하게 되었다”라며 “이에 항목들에 대한 단가를 조정하는 등 새로 생긴 공용자전거에 대한 포인트가 충분히 지급될 수 있도록 구상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예산 소진에 따른 조기 종료도 예상했다. 담당자는 “공용자전거에 대한 수요가 많은 만큼 예산 소진이 빠를 것이란 예측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오히려 그러한 사례가 기재부에 탄소중립포인트제 2026년 예산 증액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에코마일리지’라는 이름으로 탄소포인트제를 자체 운영하고 있다. 6개월 단위로 직전 2년 같은 기간 평균 에너지 사용량과 비교해 탄소배출량 5% 이상 절감하면 최대 5만원 상당의 마일리지를 지급, 상품권 등과 교환할 수 있다.
에코마일리지 회원이 타 시·도로 이사한 경우, 에코마일리지와 유사한 탄소포인트제에 가입하여 온실가스 감축에 참여 가능하며, 에코마일리지 홈페이지에서 탄소포인트제로 전환 신청하시면 된다. 단, 잔여 에코마일리지는 탄소포인트제로 전환되지 않으니 잔여 마일리지를 남기고 싶지 않다면 상품 신청은 해야한다.
[사진-오늘의분리수거 앱]
그 밖에 탄소중립을 실천하면서 혜택을 받는 방법은 또 있다. 앱을 이용해 분리수거할 때마다 현금성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오늘의 분리수거’ 앱은 재활용과 재사용을 실천하는 시민에게 포인트를 부여하여 선순환 구조를 구축한다.
오늘의 분리수거 측이 지역에 설치한 IoT 스마트 재활용품 수거함에 재활용품을 넣으면, 앱이 인식해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사용자는 포인트로 친환경 제품, 음식 등을 구매할 수 있다.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65세 이상 인구 20% 넘어, 초고령화 사회 진입 (0) | 2024.12.27 |
---|---|
유해 도서 선정 기준, 한국과 미국의 차이는? (3) | 2024.12.27 |
폐휴대폰 재활용, 개인정보 유출 걱정없이 자원순환에 기부까지 (2) | 2024.12.23 |
[임순만 칼럼] 새로운 힘의 분출,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 (3) | 2024.12.23 |
칩플레이션으로 서민은 더 힘들다 (1) | 2024.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