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kakaocdn.net/dn/cgWzGL/btsGY6kkS7C/W1j04zcrzFHXGI2CJWgBlK/img.jpg)
윤석열 대통령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영수회담이 오는 29일 2시 개최된다. 그동안 회담 의제 설정 등을 두고 갈등을 겪어온 양측의 만남이 성사되면서 언론도 여야 협치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앞서 대통령실과 민주당은 지난 23일과 25일 두 차례에 걸쳐 윤 대통령과 이 대표의 영수회담을 위한 실무 협의를 진행했으나, 별다른 소득 없이 만남을 마무리한 바 있다.
하지만 26일 3차 실무협상을 앞두고 이 대표가 “다 접어두고 먼저 윤석열 대통령을 만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홍철호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은 이날 3차 실무회동 결과를 설명하며 “의제 합의 없이 신속하게 만나겠다는 이재명 대표의 뜻에 따라 29일 오후 2시에 대통령실에서 차담회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 ‘민생회복지원금’, ‘채상병 특검’ 영수회담 의제 갈등에 언론 초점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운영하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에서 ‘윤석열’, ‘이재명’과 ‘영수회담’을 함께 검색하자,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총 1305건의 기사가 보도된 것으로 집계됐다. 날짜별로 보면, 1차 실무회동이 열리기 전날인 22일 가장 많은 331건의 기사가 보도됐는데, 이는 당초 이날 열리기로 했던 첫 실무협상이 취소되면서 언론의 관심이 집중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영수회담 관련 보도에서 자주 등장한 키워드 중에서는 ‘의제 조율’, ‘의제 설정’ 등이 눈에 띈다. 이는 대통령실과 민주당이 영수회담에서 논의할 의제를 두고 갈등을 빚으며 일정 조율에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민주당이 이번 영수회담의 핵심 의제로 지목한 ‘민생회복지원금’, ‘채상병 특검’ 등도 영수회담 관련 기사에 자주 언급됐다. 민주당은 ▲채상병 사망사건에 대한 외압 의혹 특검법 수용 ▲국민 1인당 25만원의 민생회복지원금 지급 등을 이번 영수회담의 의제로 제안했다. 또한 이태원 참사 특별법 등 야당이 추진한 법안과 관련해 윤 대통령이 반복해서 거부권을 행사해온 것에 대해서도 사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반면, 대통령실은 의제를 모두 열어두고 만나자며 민주당의 요구에 곤란하다는 반응을 보여왔다.
언론은 회담 의제 설정에 대한 대통령실과 민주당 간의 갈등으로 회담 성사가 지연될 것을 우려했다. 국민일보는 2차 실무회동이 열린 25일 “양측은 민주당이 대통령실에 요구한 (민주당 제안 의제에 대한) ‘검토 의견’과 관련해 시각차를 좁히지 못했다”며 “대통령실은 이를 윤 대통령이 ‘채상병 특검법’과 민생회복지원금 등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회담 전에 답변하라는 과한 요구로 받아들였다”고 보도했다.
국민일보는 이어 “반면 민주당은 윤·이 회담이 성과를 내려면 이 대표가 윤 대통령의 긍정·부정 기류 정도는 알고 회담에 임해야 한다는 입장”이라며 “양측의 감정싸움 기류도 감지된다”고 전했다.
![](https://blog.kakaocdn.net/dn/XALv8/btsGZK15wMj/ntPZ5wqzm8UPlJkaTEzQi1/img.png)
◇ 영수회담 의제 설정 두고 대통령실·민주당 갈등... 언론, 회담 지연 우려
언론은 26일 영수회담이 성사되기 전까지 대통령실과 민주당이 의제 설정과 관련해 평행선을 그리자 여야 협치 전망이 불확실해지고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왔다. 한국일보는 26일 오전 사설을 통해 “정부 출범 후 2년 만의 첫 영수회담이 국면전환용 이벤트가 되지 않으려면 합의 가능한 의제 조율은 필요하다”며 “그러나 회담 전 지나친 신경전은 정치 복원과 민생 해결이라는 취지는 물론 국민 기대와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일부 매체는 민주당의 의제 설정이 지나치다며 비판적인 논조를 보였다. 중앙일보는 26일 오전 사설을 내고 민생회복지원금에 대해 “1인당 25만원씩 현찰을 지원하자는 방안은 정책의 효과성도 의문인 데다 재정 악화, 물가 급등 등의 부작용을 고려하면 워낙 논란의 여지가 크다”라며 “나중에 민주당이 집권했을 때 추진하겠다면 몰라도 경제 철학이 근본적으로 다른 정부에 강요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조선일보 또한 25일 사설에서 민주당이 윤 대통령에게 거부권 행사 관련 사과를 요구한 것에 대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한 법안 중엔 통과돼선 안 될 법안도 많은데 어떻게 대국민 사과를 하나”라고 반문하며 “이런 식으로 의제 싸움에 갇히면 영수 회담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말했다. 조선일보는 이어 “지금 영수 회담은 의제보다는 만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라며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나누고 만나다 보면 협치의 길도 열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한겨레는 의제와 관련해 지나친 신경전은 지양해야 한다면서도, 대통령실이 야당이 제안한 의제를 어느 정도 수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겨레는 24일 사설에서 “윤 대통령이 완고한 거부 의사를 접고 회동을 먼저 제안한 것은 이번 총선에서 나타난 민심에 따르겠다는 것”이라며 “그렇다면 대통령실이 야당 제안을 자꾸 취사선택하려 해서는 안 된다. 대통령 입맛에 맞는 의제만 고집한다면 회동의 의미가 없지 않나”라고 지적했다.
◇ “조건 없이 만나자” 李 양보에 언론 긍정 평가
한편 이 대표가 의제 설정과 관련해 한발 양보하며 26일 영수회담이 성사되자 언론도 이를 환영하며 여야 협치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치고 있다. 문화일보는 26일 사설에서 “다 접어두고 먼저 윤 대통령을 만나도록 하겠다”는 이 대표의 발언에 대해 “회담이 공표된 지 1주일이 지나도록 일정 등이 정해지지 않은 교착 상태를 정리한 이 대표의 입장은 매우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문화일보는 이날 기사에서도 이 대표가 조건 없는 영수회담을 제안한 이유에 대해 “22대 국회의 171석을 보유한 거대 야당으로서 민생 위기 해결을 위한 실질적 성과를 내는 국정 운영의 동반자 이미지를 부각하려는 의도”라며 “대통령실이 수용하기 어려운 의제를 내세워 회동이 계속 늦춰질 경우 ‘야당 책임론’이 불거질 수 있다는 판단도 깔렸다”고 해석했다.
양측이 열린 회담을 약속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의제가 거론될지에 대한 관심도 여전하다. 경향신문은 26일 기사에서 “의제를 제한하지 않기로 한만큼 민주당은 회담에서 그간 강조해왔던 의제들을 던질 것으로 보인다”라며 “총선 민심이 반영된 의제들에 대해서 가감 없이 대통령에게 전달하고 방안을 찾도록 할 예정”이라는 천준호 민주당 당대표 비서실장의 발언을 전했다. 경향신문은 이어 천 실장이 김건희 여사 특검법이 회담 의제가 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특정 의제를 제한하거나 어떤 의제를 하면 안 된다고 한 바는 없다”고 답했다며, “민주당은 ‘김건희 여사 특검법’도 다룰 수 있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임해원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상병 특검법' 거부권 행사에 언론 평가 엇갈려 (0) | 2024.05.24 |
---|---|
[팩트체크] 채상병 특검법, 재의결 가능할까? (1) | 2024.05.22 |
美안보전문가 "한국에 독자 핵무기 허용해야" (0) | 2024.04.24 |
4·10 총선 결과에 다수 언론 "국정 쇄신 필요" (0) | 2024.04.12 |
외신이 본 한국 22대 총선 “윤, 남은 임기 레임덕 직면” (0) | 2024.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