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은행10

우리은행 해외법인 실적 4대은행 중 최저, 왜? 은행권이 새 먹거리를 찾아 해외로 눈길을 돌려 쏠쏠한 성과를 내고 있다.  한국금융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은행의 지역별 해외진출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여년간 국내 은행의 해외자산 규모는 약 9배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은행권의 해외자산 규모는 IMF 외환위기를 겪으며 1997년 567억 달러에서 2001년 226억 달러로 급감했다. 하지만 이후 국내 은행의 해외 진출이 본격화하면서 지난 2022년 기준 2031억 달러로 21년 만에 9배나 성장했다.  점포 수 또한 마찬가지다. 1997년 257개였던 국내 은행의 해외점포 수는 2002년 103개로 절반 이상 감소했으나, 이후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해 2022년 기준 207개까지 늘어났다. 같은 기간 현지법인.. 2024. 5. 13.
청년희망적금 만기에 '한도제한' 걸린 청년들 불만 폭발 2022년 출시된 청년 대상 고금리 저축상품인 청년희망적금, 만기가 도래하고 있어 갈아탈 곳을 고민하는 청년들이 적지 않다. 그런데 일부 은행의 경우, 만기된 적금을 찾으려고 해도 한도 제한에 걸려 원하는 금액을 찾지 못한다. 청년희망적금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2년간 꼬박꼬박 저축하면 연 10%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적금이다. 최대금액인 50만원씩 2년을 부어 원금 1200만원, 적금 이자(연이율 6%) 약 74만원, 정부가 지급하는 저축장려금 36만원을 더해 총 1310만원을 받게 된다. 적금이 만기되도 찾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는 적금을 찾으려는 계좌가 ‘금융거래 한도계좌’이기 때문이다. ‘금융거래 한도계좌’는 신규로 은행 입출금 계좌를 튼 고객이 인터넷 모바일뱅킹, 현금자동.. 2024.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