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치지직4

치지직 '스트리머 생태계 고도화' vs SOOP '글로벌, e스포츠 강화' = 치지직 누리집​[이코리아] 지난해 12월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 1위 플랫폼인 트위치가 한국시장 철수를 발표한지 1년이 지났다. 이후 국내 인터넷 스트리밍 시장이 네이버의 '치지직'과 아프리카가 리브랜딩된 'SOOP(숲)'의 양강 채제로 재편되며 경쟁이 이어지고 있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11월 치지직의 MAU는 242만1729명을 기록했으며 SOOP의 경우 240만3497명을 기록하며 근소한 차이로 치지직이 앞서고 있다.​2025년을 앞두고 치지직은 스트리머 지원을 중심으로 생태계 고도화 전략을 발표했으며, SOOP 역시 e스포츠 중심의 재도약을 추진하며 치열한 경쟁이 예고되고 있다.​​= 네이버 제공​네이버는 15일 서비스 오픈 1주년을 기념해 파트너 스트리머 대상 간담회를 개최하고 16일에는 치.. 2024. 12. 19.
치지직 vs 아프리카 영토전쟁 치열, 승자는? 지난해 12월 글로벌 스트리밍 시장 1위 플랫폼인 트위치가 한국시장 철수를 발표한 뒤, 트위치 이용자 확보를 두고 인터넷 방송 시장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트위치 다음으로 많은 이용자를 지녔던 아프리카 TV가 적극적으로 트위치 이용자를 흡수하는 가운데, 네이버가 12월 서비스를 시작한 새로운 플랫폼 ‘치지직’ 역시 빠른 속도로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모바일인덱스가 5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1월 아프리카 TV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약 243만 3563명, 치지직은 166만 2847명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12월에는 각각 219만 6806명, 130만 3659명이었다. 한 달 동안 아프리카는 약 24만 명, 치지직은 약 36만 명의 이용자가 증가한 것이다. 반면 트위치는 12월 2.. 2024. 2. 6.
오픈 1주차 순항하는 네이버 치지직, 베타 방송인 선정 과정에서 논란 왜? 아마존이 운영하는 게임 방송 플랫폼 트위치가 내년 2월 한국 철수를 예고한 뒤 방송 플랫폼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지난 19일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네이버의 치지직이 순항하고 있다. 치지직 애플리케이션은 서비스 공개 하루 만에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서 인기 앱 순위 1위를 기록했으며, 지난 21일에는 치지직의 최고 시청자 수가 11만 명을 기록하는 등 이용자들의 반응이 뜨겁다. 트위치의 방송인들 역시 잇따라 치지직에서 테스트 방송을 진행하며 기대감을 모았다. 웹툰 작가 출신 인기 방송인 ‘침착맨’이 19일 치지직에서 시작한 시범 방송에는 1만 명이 넘는 시청자가 몰렸으며 ‘한동숙’, ‘우왁굳’, ‘풍월량’ 등 유명 방송인들 역시 잇따라 치지직에서 시험방송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 2023. 12. 27.
트위치 떠나는 스트리밍 시장, 네이버 등 플랫폼 경쟁 본격화 글로벌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트위치가 내년 2월부로 한국 시장에서 철수하면서, 670만 명의 트위치 이용자들이 어느 대체 플랫폼으로 이동할지 관심이 쏠린다. 이에 네이버와 아프리카 등 경쟁 플랫폼들의 트위치 방송인과 이용자를 유치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네이버는 19일 정오부터 새로운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 ‘치지직 (CHZZK)’의 베타 테스트를 시작한다. 베타 테스트의 시작과 함께 기존의 네이버 게임 앱이 치지직 앱으로 업그레이드 된다. 네이버 게임 이용자들은 기존의 서비스인 라운지와 오리지널, e스포츠 등의 게임 콘텐츠에 더해 스트리밍 서비스 치지직을 통해 다양한 게임 방송을 탐색하고,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네이버는 19일 “그간 지식iN, 블로그, 카페 등 다양한 커뮤니티 서비스.. 2023. 1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