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 30% 감축 목표를 달성하더라도 2040년까지 메탄 감축을 가속해야 한국의 2050년 감축 책임을 맞출 수 있습니다"
25일 국내 기후단체 기후솔루션의 메탄팀의 노진선 연구원은 서울 광화문 HJ비즈니스센터에서 진행한 '우리나라 '2030 메탄 감축 로드맵'은 1.5도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을까?' 관련 미디어브리핑에서 "2030년 이후에도 메탄 감축이 지속될 수 있는 장기적인 메탄 감축 경로 제시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기후솔루션은 '우리나라 ‘2030 메탄 감축 로드맵’은 1.5도 온도 상승을 막을 수 있을까: SSP-RCP 시나리오를 통한 우리나라 메탄 감축 책임 분석”보고서를 내고, 2030년까지 30% 감축 목표를 맞추기 위한 정부의 폐기물, 농축산, 에너지 부문별 감축 목표가 타당한지 시나리오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노 연구원은 "현재 2030 메탄 로드맵은 온실가스 감축의 근본적인 이유인 1.5도 제한과 같은 특정 온도 목표와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2040년부터 에너지 부문에서 음수의 배출량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2040년 이후에는 에너지 부문의 메탄을 음(-)의 배출, 즉 국내 메탄 배출량을 ‘제로(0)’로 만드는 것으로는 모자라 해외에서 배출되는 메탄까지 감축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구수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메탄 감축 경로를 모델링한 결과에 따르면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선 현재 목표인 메탄 감축량보다 약 2배(1800만톤)를 감축해야 한다. 즉, 연간 이산환탄소 4.6톤 가량 배출하는 미국차량을 기준으로 삼았을 때 1년간 우리나라 자동차 약 400만대가 움직이지 않아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이 가능한 셈이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 효과가 100년 기준 28배, 20년 기준 약 80배가 높은 온실가스다. 이산화탄소는 대기에 남아있는 기간이 100~300년이나 되지만 메탄은 최대 12년 안팎에 그친다. 인류가 노력하면 단시간에 줄일 수 있는 온실가스인 셈이다.
IPCC 6차 보고서에 따르면 메탄 등 비이산화탄소 온실가스는 지구 온난화의 반 이상을 초래한다. 이에 국제사회는 지구 온난화의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메탄에 주목하기 시작했다. CCAC(Climate & Clean Air Coalition)는 메탄 배출량을 2030년까지 45% 줄이면, 2040년까지 지구 온도 상승 0.3℃ 억제가 가능하며, 이는 이산화탄소보다 감축 효과가 상당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메탄 감축의 효과성이 입증됨에 따라 2021년에 미국과 유럽의 주도로 국제사회의 공동 행동을 촉구하는 ‘국제메탄서약(Global Methane Pledge)’이 출범했다.
우리나라도 지난 2021년 이 서약에 가입했다. 2030년까지 메탄 배출량을 2020년 대비 30%(2740만 톤→1910톤) 이상 줄이자는 것이 이 서약의 골자다.
정부는 가입 2년 후 2023년 11월에는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가 ‘2030년 메탄 감축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메탄 배출원 별 감축 목표를 제시했다. 국내 메탄 배출원은 농업, 폐기물, 에너지 부문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총 배출량은 약 2700만 톤(tCO2eq)이다. 2021년 기준 폐기물 부문은 총 메탄 순배출량의 약 31%를 차지하고 있으며, 농업 부문은 43%, 에너지 부문은 약 24%를 차지하고 있다. 정부는 총 이 세 배출원의 배출량에 대해 폐기물 부문은 49%를 감축한 450만 톤, 농축산 부문에서는 34.2% 감축한 990만 톤, 에너지 부문에서는 22.7%를 감축한 460만 톤 배출을 목표로 설정했다.
보고서는 이 같은 정부의 목표에 대해 현재 2030 메탄 로드맵이 온실가스 감축의 근본적인 이유인 ▲지구 온도상승제한 목표인 1.5도를 고려해서 설정한 로드맵인가 ▲정부가 발표한 2050년 국가 탄소중립 목표와 연계하여 감축 목표를 정했는가 ▲메탄 배출원 부문별 감축 잠재량을 감안하여 부문 감축 목표가 세워졌는가에 대해 분석했다.
이 같은 분석을 하기 위해 보고서는 ‘메탄 감축 책임(Effort sharing)’을 모델링했다. 메탄 감축 책임은 지구 온도 상승 1.5도를 넘지 않기 위한 전 세계 메탄 배출량을 설정한 뒤 국가별 감축 책임을 도출한 값이다. 이번 연구에선 2050년 탄소중립 달성과 정부 정책 및 배출원의 감축 잠재량을 반영한 최소한의 목표 달성을 전제해 우리나라 메탄 감축 시나리오를 전망했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경로에서는 2020년 국가별 메탄 배출량, 인구수, 1인당 GDP 기준 별로 다른 감축 경로가 도출됐다.
먼저 2020년 우리나라 배출량(2700만 톤)을 기준으로 설정한 2050년 메탄 배출량 감축 경로에서는 2030년 감축량은 현재 정부의 감축 목표(30%)보다 적지만, 2030년 이후의 감축량이 급격하게 많아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리나라 인구수(5000만 명) 기준 2050년 메탄 감축 경로를 분석했을 때는 우리나라의 감축 목표 상향 필요성이 확연히 드러난다. 현재의 목표는 2020년 대비 메탄 배출량 30% 감축으로 총 830만 톤을 감축해야 하지만, 인구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2030년까지 현재 목표의 약 2배인 1800만 톤의 메탄을 감축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GDP를 기준으로 메탄 감축 책임을 분배하는 GDP 기준의 경우 2030년 이후 감축해야 하는 메탄 배출량이 음의 값으로 나타나 다른 기준과 비교가 어려운 감축 경로가 도출됐다.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기준으로 한 메탄 감축 경로는 국내 메탄 배출량이 제로(0)로 달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메탄의 경우 일상적인 식생활, 쓰레기 배출 등으로 인해 제로로 감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에 보고서는 2050년 메탄 배출량 제로(0)로의 수렴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점을 반영해 우리나라 정책에 따른 모델을 제안했다.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과 및 배출원별 감축 잠재량들을 반영한 모델링과 ‘2030 메탄 감축 로드맵’을 반영한 모델링에 따르면 두 가지 모두 에너지 부문의 메탄 감축 의무가 증가한다.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 정책 및 배출원별 감축 잠재량을 반영한 모델링에서는 농업과 폐기물은 에너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감축 의무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과 폐기물은 일상적인 생활, 쓰레기 배출 등으로 인해 단기간 감축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번 보고서의 시나리오 방법론에 참여한 PLANiT institute 홍상현 박사는 "탄소 예산은 '0'을 만들 수 있지만 메탄은 0이 될 수 없다. 이산화탄소는 거의 100% 에너지 활용에서 나오는 반면 메탄은 나오는 활동의 범위가 너무나 다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홍 박사는 "11차 전기본 실무안에서 화석연료인 LNG 발전은 오히려 늘었다. 이렇게 되면 탄소는 줄겠지만 메탄은 늘 수밖에 없다"며 "탄소예산을 기본으로 하되 메탄의 충분한 감축량이 있어야 1.5도 제한이 가능하다. 결국 무탄소 에너지원으로 전환속도 자체가 빨라져야 탄소와 메탄을 동시에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정부의 2030년 30% 감축 목표를 반영한 모델링에 따르면 에너지 부문의 경우 2040년 이후에 ‘음(-)’ 값이 나타난다. 이는 국내 에너지 부문에서 발생하는 메탄이 전혀 없어야 하며, 더 나아가 국외 메탄 배출량까지 감축(Scope 3)해야 한다는 뜻과 같다. 에너지 부문의 감축 의무 확대와 더불어 최소 2030년 30% 감축 후에도 2040년까지 메탄 감축 속도를 지속해야만 2050년 한국 메탄 감축 책임을 다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의 저자인 기후솔루션 메탄팀 노진선 팀장은 “정부는 2050년 1.5도 제한을 위한 2030년 메탄 감축 목표를 재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국제 메탄 서약을 넘어서 우리나라의 인구수에 맞는 메탄 감축 목표로 증대해야 한다"며 "상대적으로 감축이 쉬운 에너지 부문의 2030~2050 메탄 감축 목표를 상향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수은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시대,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하자 (3) | 2024.09.26 |
---|---|
쓰레기 무단투기에 신음하는 국립공원, 해결 방안은? (3) | 2024.09.26 |
세포배양해산물 상용화 어디까지 왔나 (0) | 2024.09.25 |
복수주소제, 지방 활성화 해법 될까 (6) | 2024.09.24 |
양육비 선지급제,유럽에선 어떻게 (2)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