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환경 단체, 당진 LNG 생산기지 건설 반대 왜?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11. 5.
728x90
자료=기후솔루션

한국가스공사의 당진 LNG 생산기지 건설 사업은 국내 최대 규모로 추진되고 있으나, 변화된 정책 환경과 가스 수요 감소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어 위험성이 제기되고 있다.

 

당진 LNG 생산기지 건설 사업은 한국가스공사가 석문국가산업단지에 LNG 저장탱크 총 120만톤(270만 kl)을 건설하는 사업으로, 현재 한국의 LNG 터미널 증설 계획인 299만 톤(664만 kl)의 40%에 달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LNG 터미널  확장 사업이다. 현재 1단계(108만 kl)가 공사 중이며, 2031년 완공 목표로 2~3단계 확장을 추진 중이다. 

 

현재 당진 LNG 생산기지 사업은 가스공사와 민간의 합작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가스공사가 짓고 소유하지만 터미널 용량 절반가량(135만 kl)을 민간에 임대해서 임대료를 수임하는 구조다. 한국가스공사는 사업비(1~2단계 기준) 2조 6300억 원을 자체 조달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 프로젝트가 한국의 탄소중립 목표와 전 세계적인 LNG 수요 감소 추세에 반하는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근의 정책 변화와 가스 수요 전망 하락에도 불구하고, 가스공사가 당진 터미널 2단계 확장을 승인하면서 경제성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가스 수요가 2050년까지 최대 7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가스 수요도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다. 지난해 발표된 제15차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획 중 기준수요는 2023년 4509만 톤 대비 2036년 3766만 톤으로 13년 만에 가스 소비가 15% 줄어드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국의 2050년 탄소중립 계획을 고려한다면, 수요 감소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LNG의 과잉생산 문제는 지난해 11월에 발표된 미국 에너지경제·재무분석연구소(IEEFA)의 보고서를 통해서도 이미 지적된 바 있다. IEEFA에 따르면, 한국의 LNG 산업은 화석 연료 수용 용량을 늘리기 위한 인프라 구축에 11조3000억 원(약 87억 달러)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프로젝트는 건설 중이거나 계획 단계에 있다. 

 

2023년 기준 한국은 연간 약 1억5300만 톤(MTPA)의 재기화 용량과 630만 톤(MT)의 LNG 저장 용량을 갖춘 7개의 LNG 수입 터미널을 보유하고 있다. IEEFA의 예측에 따르면 미사용 LNG 재기화 용량은 지난해 1억7.9MTPA에서 2036년 1억5280만 톤(MTPA)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이미 침체된 29.5%의 활용률을 19.8%로 낮추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IEEFA의 한국 에너지 금융 전문가 미셸 킴은 “실질적으로 계획된 저장 용량은 2036년에 현재 52일에서 93일 분의 연간 LNG 수요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수치는 정부가 의무화한 9일 분의 겨울 최대 수요 목표를 훨씬 넘어선다”라고 지적했다. 

가스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저장탱크 용량이 늘어날 경우 일정 이용률이 확보되어야 경제성이 확보되는 LNG 터미널 사업 특성상 현 계획대로라면 손실이 불가피한 것이다. 

 

하지만 가스공사가 김교흥·박지혜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가스공사는 2019년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이후, 한국의 탄소중립 선언에도 불구 2022년 7월 당진 LNG 터미널 2단계 확장 공사에 대한 승인을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중부발전이 추진 중이던 40만 kl 규모 보령 LNG 터미널 건설을 두고 정책 변화 미반영이 논란이 되자 타당성 재조사를 실시한 뒤 지난 6월 건설 계획을 철회한 것과는 대조되는 행보다.

 

변화된 정책 환경에 대한 냉담한 시장 반응은 가스공사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서도 확인됐다. 가스공사는 국가 내 중복투자 방지를 위해 건설 용량의 50%(135만 kl)를 민간 시설 이용자에게 임대를 추진 중이라고 대대적으로 홍보한 바 있다. 

 

하지만 가스공사가 김교흥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는 민간 시설이용자와 맺은 공동이용 사전협약상 임대 기간은 사업 시작(2026년) 이후 10년 만에 142.6만 kl에서 약 40%(43만 kl)대로 급락하고 20년 뒤인 2047년에는 모두 만료될 예정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위기 대응 기조와 화석연료 사용에 관한 급변한 국내외 정책 환경이 제대로 검토되지 않은 상태로 사업이 추진되어, 좌초화가 불가피해지는 것이다.

 

국내 환경단체들도 당진 지역의 기존 환경오염 문제와 맞물려 이 사업이 추가적인 사회적 비용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기후솔루션 가스팀 김서윤 연구원은 이번 사업에 대해 “가스공사가 쌓여가는 미수금에도 불구, 불확실한 당진 LNG 터미널 사업에 자금을 계속 투입하는 것은 무책임한 의사결정”이라며 “지금이라도 정부의 탄소중립 계획과 가스 수요 하락 전망을 의사결정에 반영해 사업의 타당성을 다시 판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충남환경운동연합 기후에너지특위 조순형 위원장은 “보령에 건설되려던 LNG 터미널이 경제성의 이유로 계획이 철회되었다. 국내 최대 규모인 가스공사 당진 LNG 터미널은 더욱이 이용률이 높을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며 “당진은 석탄발전소, 제철소, 석유화학단지 등으로 인해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이미 높아 주민 건강, 사회적으로 피해가 높은 지역이며 여기에 LNG 터미널을 추가로 건설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밝혔다. 

 

 

윤수은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