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

푸드테크산업 발전시키려면 최우선 과제는?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11. 11.
728x90
[사진-농식품 업사이클링 시장 규모, 출처-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기후 위기 대응의 관점에서 먹거리 역시 ‘환경보호’를 위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농식품 업사이클링’에 대한 가치도 재조명되고 있다.

 

업사이클링 푸드는 음식물 쓰레기나 상품 가치가 없는 식품을 새로운 부가가치 또는 고품질의 지속가능한 제품으로 바꾼 식품을 의미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업인 팩트미스터(Fact.MR)에 따르면 글로벌 업사이클링 식품 시장은 연평균 약 6.4% 성장해 2032년에는 5억 12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우리나라의 업사이클 시장 규모 역시 연간 2천억원 수준으로 형성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사진-연도별 여론 반응, 출처-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소비자의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해선 정부와 기업의 농식품 업사이클링에 대한 잦은 노출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이 최근 4년간 온라인에 게시된 179,533건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발표한 ‘FATI(Farm Trend&Issue)’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정책 이나 기업의 상품 등이 예정되는 시점에 ‘농식품 업사이클링’에 대한 정보량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품·유통 기업들은 ESG 경영 등 이미지 제고 차원에서 업사이클링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지난 6월부터 샌드위치를 만들고 남은 식빵 테두리를 사용해 수제 맥주를 만들어 판매하고 있다. 반대로 맥주 제조의 부산물인 맥주박을 제공받아 식빵, 스낵 등을 제조하는 스타트업도 있다. 푸드테크 스타트업 ‘리하베스트’는 2020년부터 OB맥주로부터 맥주 제조의 부산물인 맥주박을 제공받아 식빵, 스낵 등을 제조하고 있다.

 

화장품과 반려동물 용품도 업사이클링 제품으로 만들어진다. 국내 화장품 브랜드인 스킨푸드에서는 사과추출물을 활용한 클렌저 및 감자를 이용한 진정패드 등 기초 화장품들을 중심으로 농식품 업사이클링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버려지는 농산물을 활용한 채소껌, 트릿 등 반려동물 용품도 구매자들을 중심으로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푸드 업사이클링 산업에 대한 지원은 해외에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농업 및 농식품 분야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캐나다인 농업 파트너십(Canadian Agricultural Partnership)을 진행하며 30억 달러를 투자한다. 이는 푸드 업사이클과 같은 산업 부산물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연구도 포함하며, 특히 잉여 및 판매되지 않는 과일과 채소를 건조, 식물 기반 분말 및 고체 식품 재료로 재활용하는 사업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이기원 국제푸드테크협의회 공동회장은 푸드 업사이클링을 포함한 푸드테크산업을 자원 재활용 문제를 풀 열쇠로 꼽고 있다. 국제푸드테크협의회는 푸드테크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민관 협력, 기술 발전 지원 등을 추진하는 단체로, 신세계푸드, 롯데중앙연구소, 트릿지, 서울대 등이 공동회장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지난해 1월 출범했다. 

 

이 회장은 “유럽은 전통적인 식품 분야를 강화하고 있고 미국은 구글, 아마존 등 빅테크가 앞다퉈 푸드테크산업에 뛰어들고 있다”라며 “업사이클링, 친환경 포장재, 세포 배양육 기술을 통해 낭비되는 자원을 최소화하고 탄소를 줄일 수 있다”라고 강조하며 관련법 제정을 촉구했다.

 

이어 “국내 푸드테크산업을 키우려면 학교, 군부대 등 공공부문에서 국내 기업들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성장동력이 민간으로 확산하도록 관련 정책과 시스템 마련이 중요하다”라고 했다.

 

이 회장이 말하는 푸드테크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선 「푸드테크산업 육성법」의 제정이 필수다. 기존의 법률로는 온라인 유통 플랫폼, 세포배양 식품, 조리 로봇 등 비식품 분야를 모두 아울러 지원은 물론 규제도 할 수 없다.

[사진-의안정보시스템]

현재 국회에서는 김도읍 국민의힘 의원,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표발의한 법안이 계류되어 있다. 세부적으로는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푸드테크산업 육성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실태조사 및 통계 작성 ▲푸드테크 혁신클러스터 육성 ▲전담기관 지정 ▲규제개선 신청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K-푸드가 전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시점에서 식품산업 고도화를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면서 “빠르게 발전하는 푸드테크산업을 집중 육성하여 관련 기업을 지원하고 글로벌 시장을 선도해야 한다”고 법안 제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이코리아>와의 통화에서 “푸드테크산업은 미래 유망 신산업인데도 관련 법이 없어 뚜렷한 지원 체계 없이 관련 사업이 산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라며 관련법안의 제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호경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