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CT

미국, 틱톡 서비스 중단D-3 "많은 반전 일어날 것"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5. 1. 16.
728x90

= 픽사베이

[이코리아] 틱톡이 현지시간 19일부터 미국에서 완전히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밝히며 미국에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미국 정부는 중국 기업 바이트댄스가 운영하는 숏폼 소셜 미디어 틱톡을 지난 2022년부터 미중 갈등이 고조됨에 따라 틱톡이 미국인의 개인정보를 중국 정부에 유출한다는 이유로 압박해왔다.

지난 2022년 12월에는 미국 하원에서 공공기관 기기에서 틱톡의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되었으며 네브레스카, 사우스다코타, 메릴랜드 등 각 주 단위에서도 주 정부 산하 기관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이후 미국 상원과 하원은 틱톡 금지법을 제정해 통과시켰으며, 결국 지난해 4월 바이든 행정부가 틱톡의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서비스를 중단하도록 하는 틱톡 금지법에 서명했으며, 법원 역시 틱톡금지법이 합헌이라고 판단해 위헌 소송을 기각하며 틱톡 서비스 중단이 현실화되었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틱톡은 연방 금지령이 발효되는 19일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미국에서는 1억 7천만 명이 틱톡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법안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애플 앱스토어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틱톡을 다운받는 것 만을 금지하고 있어 기존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계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었지만, 틱톡이 법안에 항의하는 차원에서 서비스 전면 중단이라는 강수를 둔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19일 이후 이용자가 틱톡에 접속하면, 사용 금지 메시지가 있는 웹사이트로 안내될 예정이며, 이용자들이 틱톡에 남은 자신의 정보를 내려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일론 머스크 등 미국 기업가들이 틱톡을 구매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블룸버그와 월스트리트 저널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일론 머스크에게 매각하는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고 전했다.

CNN은 "만약 머스크가 틱톡을 구매하게 될 경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전 세대의 젊은 소셜 미디어 사용자들에게 영웅이 될 수 있으며, 머스크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틱톡을 이전에 구매한 X(구 트위터)와 결합해 소셜 미디어 분야에서 매출을 올릴 수도 있을 것이다."라고 예측했다.

댄 아이브스 웨드부시 증권 분석가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분명히 위험요소가 있지만, 머스크가 틱톡을 인수하면 X의 가치가 두 배로 늘어날 수 있다."라며 "틱톡의 서비스가 중단되는 1월 19일이 다가오면서 많은 반전이 벌어질 것이다."라고 바라봤다.

다만 전문가들은 머스크가 모든 이해관계자를 만족시키는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며, 매각이 규제 장벽을 극복할 수 있을지도 불분명하다고 바라봤다. 또 테슬라 투자자들은 머스크가 2년 전 X에 440억 달러를 쏟아부은 후, 또 다시 다른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흡수하는 것을 반기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편 곧 임기가 시작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틱톡 금지법을 철회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후 60일에서 90일 동안 틱톡 금지, 매각을 중단하는 행정 명령을 발동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트럼프는 지난 대통령 임기에서는 틱톡이 국가 안보에 해롭다는 입장을 밝히며 틱톡 퇴출을 추진해 왔으나, 최근 바이트댄스의 지분을 20% 보유한 억만장자 제프 야스를 만난 이후 이러한 입장을 선회했다. 또 쇼우지추 틱톡 CEO는 이번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워싱턴포스트는 트럼프가 틱톡을 구하기 위한 파격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하며, 트럼프가 의회에 틱톡 금지법을 폐지하도록 강요하거나 법무장관에게 법안 시행을 중단하라고 지시할 수도 있다고 바라봤다.

= 앱스토어 누리집

미국에서는 틱톡 금지의 여파로 다른 중국산 앱들의 다운로드가 늘어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미국의 틱톡 이용자들은 '샤오홍슈', '레몬 8' 등 다른 중국의 앱들을 대체 앱으로 선택해 이주하고 있다.

샤오홍슈는 '작은 붉은 책'을 듯하는 이름으로, 인스타그램과 유사한 구조를 지닌 소셜 미디어다. 주로 중국에서 활발하게 이용되었으며 미국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활발한 마케팅을 벌이지는 않았지만, 틱톡 금지가 확정된 후 미국에서 빠르게 이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1월 14일 이후에는 애플 미국 앱스토어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앱이 되었다.

이용자들은 틱톡을 금지한 정부에 대한 반발심으로 의도적으로 중국산 앱을 이용하고 있으며,'틱톡 난민', '중국 스파이' 등의 호칭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메타의 '인스타그램 릴스' 등 틱톡과 유사한 대항마 앱들이 이용자들에게 크게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는다는 점 역시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현기호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