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현대차, 역대급 매출에도 아쉬운 이유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5. 1. 24.
728x90

현대차그룹 양재 본사 사옥. 사진=현대자동차그룹

[이코리아] 현대자동차가 2023년에 이어 2년 연속 역대급 실적을 기록했지만, 기대했던 영업이익 15조 원 달성에는 실패했다. 매출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으나, 인센티브 증가와 판매보증충당부채 관련 환율 효과 등이 영업이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 23일 열린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국제회계기준(IFRS) 연결 기준으로 2024년 △도매 판매 414만1959대(전년 대비 1.8% 감소) △매출액 175조2312억 원(7.7% 증가) △영업이익 14조2396억 원(5.9% 감소) △경상이익 17조7814억 원(0.9% 증가) △순이익 13조2299억 원(7.8% 증가)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친환경차 판매량이 75만7191대로 전년 대비 8.9% 증가하면서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의 시장 점유율 확대가 눈에 띄었다.

현대차가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15조 원을 넘지 못한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그 원인으로는 △4분기 실적 부진 △판매보증충당부채 관련 환율 부담 △인센티브 증가 등이 꼽힌다. 특히,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와 거시 경제 불확실성이 향후 실적에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구체적으로 4분기 실적을 살펴보면, △도매 판매 106만6239대 △매출액 46조6237억 원 △영업이익 2조8222억 원 △경상이익 3조1189억 원 △순이익 2조4742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7.2% 감소하며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북미·유럽 지역에서 인센티브가 증가한 것이 원가율 상승(80.5%)으로 이어졌고, 판매보증비 관련 환율 영향으로 판매관리비 비율도 13.4%로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현대차는 전년 동기 대비 2.2% 감소한 106만6239대를 판매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경제 상황 악화와 공급 차질 등의 변수로 인해 판매량이 4.6% 줄었고, 해외 시장에서는 북미 지역 판매 증가(4.4%)에도 불구하고 중국 및 유럽 시장 부진으로 전체 판매량이 1.6% 감소했다.

반면, 친환경차 판매는 호조를 보였다. 하이브리드 판매가 14만5732대, 전기차 판매가 5만3035대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1% 증가했다. 특히 북미 시장에서 SUV 하이브리드 판매가 확대되면서 친환경차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현대차는 올해 글로벌 경기 둔화,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 변화, 거시 경제 변동성 확대 등의 어려운 경영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부문별 대응책과 시나리오를 마련하고 체계적인 대처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판매 부문에서는 북미 지역 전기차 현지 생산을 본격 가동하고, 하이브리드 판매 비중을 확대하는 한편, 제품 라인업과 트림을 최적화해 수익성을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원가 절감과 품질 확보를 위한 내부 혁신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현대차는 2025년 도매 판매 목표를 417만 대로 설정하고, 연결 매출액 성장률 목표를 3.04.0%, 영업이익률 목표를 7.08.0%로 제시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R&D 투자 6조7000억 원 △설비 투자(CAPEX) 8조6000억 원 △전략 투자 1조6000억 원 등 총 16조9000억 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주주 가치를 제고하기 위해 2024년 기말 배당금을 주당 6000원으로 결정했으며, 연간 배당금 총액은 주당 1만2000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한편, 현대차 실적 및 향후대응전략과 관련해 증권가에서는 전망이 엇갈리는 분위기다.

미래에셋증권은 24일 현대차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목표가 ‘36만원’을 유지했다. 김진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이날 “결론은 단단한 하방, 25년 미국/주주환원/전기차에 주목한다”며 현재 주가수준은 매력적이라고 판단했다.

김 연구원은 이어 “4배의 P/E, 6%의 배당수익률, 2/27까지의 약 4000억 원 자사주매입, 25~27년 4조원 자사주매입이 예정돼 있다”며 “25년 실적은 견고할 가운데, 미국 점유율 확대와 미국 BEV 판매 확대, 자율주행 협업에 주목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반면, 키움증권은 현대차의 글로벌 경쟁이 심화될 것이라며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시장수익률 상회'로 하향했다. 목표주가도 24만5000원으로 16.95% 내렸다. 신윤철 키움증권 연구원은 "2025년의 마진 축소 우려를 반영해 현대차에 대한 목표주가 및 투자의견을 하향조정한다"며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가동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 및 신형 팰리세이드 (LX3), 아이오닉9 등 고부가 신차 사이클에도 불구하고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다면 글로벌 금리인하 속도 둔화, IRA법과 관세, 중국&인도 경쟁사들의 약진, 환 변동성 등에 충분히 대응하기 힘들다"고 밝혔다.

하나증권도 현대차의 목표주가를 31만원에서 28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송선재 하나증권 연구원은 “이는 예상보다 큰 인센티브 증가와 Capex 및 R&D 비용 증가를 반영한 결과”라고 말했다. 이어 “자동차 산업의 저성장과 경쟁 심화, 정책 불확실성이 제약 요인이지만, 낮은 Valuation(P/E 4배 중반), 5.7% 배당수익률, 1.3조원 규모의 자기주식 매입이 긍정적 요인”이라며 “단기적으로 박스권 내 등락을 예상하며, 전기차 모델 성과 및 자율주행 기술 진전이 주가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내다봤다.

 

 

 

윤수은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