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尹 채상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언론 사설 비교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4. 6. 21.
728x90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9월 15일 인천 수로 및 팔미도 근해 노적봉함에서 열린 제73주년 인천상륙작전 전승기념식에 참석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채 상병 특검법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 문턱을 넘은 가운데, 윤석열 대통령의 통화기록이 논란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진보 성향 매체를 중심으로 윤 대통령이 수사 외압 의혹에 대해 사실대로 해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모양새다.

 

◇ 채 상병 순직 사건 보도, 특검법 법사위 통과 후 급증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운영하는 뉴스 빅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에서 ‘채상병’을 검색하자 지난 17일부터 21일까지 총 590건의 기사가 보도된 것으로 집계됐다. 

 

날짜별로보면 17~19일은 기사량이 100건 이하였으나, 20일 126건, 21일 150건으로 다시 기사량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지난 20일 ‘채 상병 특검법’(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제1소위원회를 통과한데 이어 21일 사건 관계자들이 출석하는 입법청문회가 열리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채 상병 순직사건 관련 보도에 자주 등장한 연관키워드 목록 상위권에는 ‘입법청문회’,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를 비롯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등 핵심 관계자의 이름이 자리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름도 채상병 관련 보도에 빈번하게 등장했다. 이는 해병대 수사단이 경찰에 채 상병 순직 사건 기록을 이첩한 날, 윤 대통령이 사건 핵심 관계자들과 통화한 기록이 드러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 19일 군사법원에 제출된 통화기록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해 8월 2일 낮 12시부터 1시 사이에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개인 휴대전화 번호로 전화를 걸어 총 세 차례에 걸쳐 약 18분 동안 통화했다. 또한 윤 대통령은 임기훈 당시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과도 오후 1시 25분부터 29분까지 4분 51초간 통화했으며, 오후 4시 21분에는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에게 전화를 걸어 10초간 통화했다. 

 

17~21일 보도된 채 상병 순직 사건 관련 기사의 연관키워드. 자료=빅카인즈

◇ 尹 통화기록 공개되자 언론, “대통령실 수사외압 개입 정황 드러나...”

 

윤 대통령의 통화기록이 공개되자 언론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에 대통령실이 직접 개입한 것 아니냐며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한국일보는 21일 기사에서 “대통령→장관 및 대통령실→국방부와 군 수뇌부→유관기관으로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고리를 보면, 채 상병 사망사건 외압에 대통령실이 깊숙이 관여했다는 의혹이 설득력을 얻게 된다”라며 “당시 외압 의혹의 구체적인 ‘등장인물’과 이들 간의 ‘연결 고리’가 서서히 드러남에 따라, 수사외압 의혹은 점점 커지는 모양새”라고 전했다.

 

한국일보는 “가장 눈에 잘 보이는 날이 지난해 8월 2일. 해병대 수사단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 지시를 어기고 사건 조사기록을 경북경찰청에 넘긴 날”이라며 ①윤 대통령이 이 전 장관 및 임 전 비서관과 통화한 뒤 ②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과 임 전 비서관이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과 접촉하고 ③이후 유 관리관이 경북경찰청 수사부장과 통화한 다음 ④국방부 검찰단이 사건기록을 회수한 후 이들 사이의 연락이 잠잠해진 흐름을 되짚었다. 

 

한국일보는 이러한 일련의 흐름에 대해 “이들의 미션이 ‘경찰로 넘어간 사건을 도로 찾아오는 것’이었음을 시사하는 정황”이라며 “대통령실이 조직적으로 사건기록 회수에 관여했을 것이란 의심을 해도 어색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종섭(앞줄 오른쪽 세 번째부터) 전 국방부 장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과 박정훈(왼쪽) 전 해병대 수사단장 등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순직 해병 수사 방해 및 사건 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안 관련 입법청문회에서 채 해병 추모 묵념을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尹 통화기록 논란에 보수매체 ‘침묵’ vs 진보매체 “대통령실 잘못 인정해야”

 

채 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최근 언론의 반응은 두 갈래로 엇갈리고 있다. 특히, 윤 대통령의 통화기록과 관련해 보수 성향 매체들은 대체로 침묵을 지키고 있는 반면, 진보 성향 매체들은 대통령실이 직접 해명에 나서야 한다며 비판 수위를 점차 높이고 있다. 

 

한겨레는 20일 사설에서 “대통령실-국방부-경찰 사이에 긴박한 연락이 오간 당일의 통화 기록은 채 상병 사건 기록 회수를 대통령실이 주도했고 그 정점에 윤 대통령이 있음을 가리키고 있다”라며 “더 이상 국민을 속이려 들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겨레는 윤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의 통화 내용 중 채 상병 언급은 없었으며 다른 중요 업무 때문에 통화했다는 대통령실의 해명에 대해서도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꼬집었다. 한겨레는 “어떤 중요한 일이기에 휴가 중인 대통령이 국외 출장 중인 국방부 장관과 개인 휴대전화로 한 시간 동안 세 차례나 통화했는지는 설명하지 않았다”라며 “대통령이 장관과 통화한 뒤 국방부 차관, 대통령실 국방비서관과도 직접 통화한 것은 도무지 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진상규명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목소리코 커지고 있다. 경향신문은 이날 사설에서 “통화내역 등 잇단 정황이 윤 대통령의 수사 외압 의혹을 가리킨다”라며 “그런데도 윤 대통령이 채 상병 특검을 거부한다면 수사회피용 거부권 사유화라는 거센 반발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또한 경향신문은 유재은 국방부 법무관리관에 대해서도 “대통령실과 의견을 주고받으며 사건기록 회수 등의 최종 실무를 담당한 사람도, 대통령실이 무엇을 어떻게 관여했는지 가장 잘 알고 있을 사람도 유 관리관”이라며 “유 관리관은 많은 국민이 지켜볼 이 청문회에서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밝히기 바란다. 그것이 꽃다운 목숨을 억울하게 잃은 젊은 해병대원에게 할 최소한의 인간적 도리”라고 당부했다.

 

한겨레 또한 “이제 대통령의 수사 개입은 부정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국민 앞에 사실대로 고백하고 잘못을 인정할 때가 됐다”라며 “계속 은폐와 변명으로 일관한다면 더 큰 국민적 분노만 부를 뿐”이라고 말했다. 

 

 

 

임해원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