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첫 이사장 직선제 치른 새마을금고... 이미지 쇄신 한걸음

by 이코리아 티스토리 2025. 3. 6.
728x90

제1회 전국 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일인 5일 오전 인천 부평구 부평새마을금고 본점에 마련된 투표소에서 한 유권자가 투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코리아] 새마을금고의 첫 전국 동시 이사장 선거가 마무리됐다. ‘뱅크런’ 사태 이후 경영혁신에 나서며 금융소비자 신뢰 회복에 공을 들여온 새마을금고가 이번 선거를 통해 부실대출 및 각종 비위로 실추된 명예를 회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집중된다.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날(5일) 열린 제1회 전국 동시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 결과 1101개 금고의 이사장 선출이 모두 완료됐다. 선거인 175만2072명 중 45만1036명이 투표에 참여해 25.7%의 투표율을 기록했으며, 1101개 금고에 총 1540명의 후보자가 등록해 경쟁률은 1.4대 1을 기록했다.

새마을금고 이사장 선거는 원래 각 금고가 자체적으로 실시해왔다. 하지만 대부분 금고에서 대의원을 통한 간선제 방식으로 선거를 실시해, 이사장과 대의원 간의 유착 및 금품수수 등의 비리 문제가 반복해서 논란이 됐다.

이 때문에 지난 2021년 새마을금고법이 개정됐고, 자산 규모가 2000억원 이상인 금고는 의무적으로 지역조합원이 이사장을 직접 뽑는 직선제를 도입하게 됐다. 또한 선거관리도 지역금고가 자체적으로 하지 않고 선관위에 위탁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이번 선거에서는 1101개 금고 중 절반에 가까운 534곳에서 직선제 선거가 실시됐다.

새마을금고는 반복된 비위 및 2023년 부실대출 사태 등으로 실추된 이미지 회복을 위해 강도 높은 지배구조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중앙회장에게 집중된 권한을 분산하기 위해 연임제를 4년 단임제로 변경하고 전문이사 수를 4명에서 9명으로 확대하는 한편, 대형 금고는 의무적으로 상근감사를 선임하도록 해 부실대출 재발 위험에 대한 감시도 강화했다.

이번에 치러지는 이사장 선거 또한 금융소비자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새마을금고의 노력의 일환이다. 그동안 ‘깜깜이 선거’라는 비판까지 받았던 간선제 방식을 직선제로 바꾸고 선관위에 선거관리를 위탁해 선거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겠다는 것. 향후 개선된 선거제도가 자리잡는다면 이사장 선출 과정에서 발생했던 각종 문제가 상당 부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도 크다.

새마을금고 또한 첫 전국 동시 이사장 선거를 앞두고 준비에 공을 들였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해 7월 선거 전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전국 13개 지역본부 및 중앙본부 유관부서 본부장으로 구성된 공명선거추진협의회도 개최했다. 지역금고 임직원을 대상으로 공명선거를 위한 사전 교육도 진행했다.

다만 새로운 선거방식을 통해 기대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적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우선 젊고 전문성 있는 이사장 후보군을 발굴·육성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실제 이번에 새로 이사장을 선출한 1101개 금고 중 3분의 2에 달하는 743곳에서는 후보자가 1명뿐이어서 투표 없이 당선인이 결정됐다.

당장 후보군 육성이 어렵다면 역량 있는 외부 인재에게 영입 문턱을 낮춰줄 필요도 있다. 현행 새마을금고법에 따르면 정관에서 정한 출자좌수 이상을 2년 이상 보유해야 이사장 선거에 나설 수 있다. 시행령에서는 새마을금고 경력이 없더라도 금융위원회 검사대상 금융회사나 금융관련 기관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쌓으면 이사장 선거에 출마할 수 있도록 했지만, 이러한 규정으로 인해 외부 인재 영입이 어려워진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조합원의 선거 참여를 더욱 독려할 필요도 있다. 이번 선거 투표율은 25.7%로, 첫 직선제 선거임을 감안해도 아직 저조한 편이다. 조합원이 직접 이사장을 뽑아 투명성을 제고한다는 선거제도 변경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홍보와 투표 유도가 필수적이다.

한편, 이번 선거를 통해 선출된 새마을금고 이사장 임기는 오는 3월 21일부터 2029년 3월 20일까지 4년이며, 두 차례 연임이 가능하다.

 

 

임해원 기자

저작권자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 많은 기사는 '이코리아'(http://www.ekorea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