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288 트위치 철수 D-7, 아프리카 vs 치지직, 이용자 유치전 치열 트위치의 한국 철수가 일주일 남은 가운데, 아프리카TV와 치지직의 막판 이용자 유치전이 치열하다. 모바일 인덱스에 따르면 지난 1월 트위치의 월간 활성 이용자는 250만명 가량 남아 있어, 27일 트위치가 철수하면 남아있던 이용자들이 양강 구도를 형성중인 치지직과 아프리카 TV 중 어느 플랫폼으로 이동할지 관심이 쏠린다. 트위치 철수 후 국내 인터넷 방송 플랫폼 최강자 자리에 오르게 될 아프리카 TV는 이용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방송인과 이용자 모두에게 친화적인 플랫폼 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우선 지난 5일부터 1440p 고화질 방송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개시하고 스트리밍 시차를 줄이는 등 방송인 친화적인 업데이트를 대거 적용하고 있다. 지난 4분기부터는 플랫폼에서 새롭게.. 2024. 2. 21. MWC 2024 개막 D-7, 국내 통신 3사 AI 신기술 선보여 세계 최대의 이동통신 기기 박람회 MWC(Mobile World Congress) 2024가 오는 26일부터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다. MWC는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매년 2월 주최하는 행사로, 미국에서 열리는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CES)와 베를린 국제가전박람회(IFA)와 더불어 세계 3대 ICT 박람회로 꼽히는 행사이다. 지난해에 열린 MWC 2023은 약 8만 8천 5백 명의 참가자를 기록한 바 있다. 올해의 MWC는 ‘미래가 먼저다(Future First)’를 주제로 6개의 하위 주제를 제시했다. 모바일 관련 주제 외에도 AI나 모빌리티 등 각종 ICT 분야에 대해 폭넓게 다루는 것이 특징이다. 우선 ‘5G와 그 너머’ 주제에서는 5G와 IoT, 6G, 스마트 시티의 네트워크 .. 2024. 2. 19. 소프트뱅크, 오픈 AI, AI 반도체 개발에 사활을 건 까닭 글로벌 기술기업들이 잇따라 AI 반도체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며 AI 반도체 경쟁이 심화 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4년 70억 달러 수준에서 2030년 1400억 달러 규모로 6년 만에 20배 급성장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엔비디아는 현재 AI 반도체 시장에서 90%의 점유율을 기록하는 등 독점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AI 열풍의 최대 수혜주로 떠오른 상태다. 현재 엔비디아는 시총 5,700억 달러를 기록하며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의 뒤를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높은 가치를 지닌 기업으로 등극한 상황이다. 이에 더해 엔비디아는 300억 달러 규모의 맞춤형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9일 외신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맞춤형 반도체 설계를 위한.. 2024. 2. 19. 오픈 AI, 몇 문장으로 영상 생성 AI '소라' 공개...악용 우려도 오픈 AI가 현지시각 15일 이미지 생성 AI인 달리(DALL-E)를 기반으로 제작한 영상 생성 AI '소라(Sora)'를 공개했다. 지난 2022년부터 이미지 생성 AI가 전 세계의 화제로 떠오르며 발전을 거듭해오는 가운데, 이제 영상 생성에 도전하기 시작한 것이다. 오픈 AI는 소라에 대해 “텍스트 지침을 통해 현실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장면을 만들 수 있는 AI 모델”이라고 소개했다. 소라는 시각적 품질을 유지하고 사용자의 메시지를 준수하면서 최대 1분 길이의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러 캐릭터, 특정 유형의 동작, 피사체와 배경의 정확한 세부 정보로 복잡한 장면을 생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소라의 언어 모델은 프롬프트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생생한 감정을 표현하는 매력적인 캐릭터를 생성할 .. 2024. 2. 17. 이전 1 ··· 54 55 56 57 58 59 60 ··· 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