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285 군사용 AI 실전 배치,미중 충돌 위험 증가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다양한 분야와 융합하는 가운데, 군사용 AI에 대한 전 세계의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군사용 AI가 실전에서 활용되는 사례는 이미 다수 나오고 있다. 하마스와 전쟁을 벌이고 있는 이스라엘 방위군(IDF)은 이미 교전에 AI 무기체계를 다수 도입해 활용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해 공습 대상을 선정하고 전략을 수립하는데 ‘파이어 팩토리(Fire Factory)’와 같은 군사용 AI를 활용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AI를 활용하면 효율적인 공습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폭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 역시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스라엘은 이 외에도 자살 드론, 자율 전투 차량 등 다양한 AI 병기를 최전방에 배치해 활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크라이.. 2024. 1. 31. 게임이용자 권익 보호 방안, 전문가 3인의 평가는? 정부가 게임 심의를 민간으로 이양하고 게임 이용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30일 국민 권익을 위한 디지털 혁신 중 하나로 게임이용자 권익을 높이는 게임산업 생태계 조성 방안을 발표했다. 먼저 정부는 사행성이 우려되는 아케이드 게임을 제외하고 게임 종류에 따라 공공과 민간에 각각 분리되어있는 등급분류 권한을 단계적으로 민간에 이양해 글로벌 기준에 맞는 등급분류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첫 번째 단계로는 게임콘텐츠등급분류위원회(GCRB)에 모바일게임 심의를 추가 위탁한다. 이는 법 개정 없이도 시행할 수 있는 사항이다. 다음 단계로는 사행성이 우려되는 아케이드를 제외하고 청소년이용불가 게임 심의 권한까지 추가로 GCRB에 넘긴 뒤, 마지막 단계로 게임 심의를 완전히 민간 자.. 2024. 1. 31. FTC 등 규제당국, 빅테크와 AI 스타트업 관계 주시하는 이유는? 세계 각국 반독점 기관이 빅테크의 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빅테크가 유망한 AI 스타트업에 투자를 통해 지배권을 행사하고 AI 기술을 독점하며 시장경쟁을 저해하지 않을지 우려하는 것이다. 현지시각 25일 미국의 반독점 기관인 연방거래위원회 (FTC)는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 3개 빅테크와 AI 스타트업인 오픈 AI, 앤트로픽에 대한 조사에 들어갔다. 위원회는 5개 기업에 투자 및 파트너십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강제 명령을 내렸으며, 이번 조사를 통해 빅테크와 AI 제공업체의 파트너십 및 투자를 면밀히 조사하고 기업 간의 관계와 경쟁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내부 이해를 높힐 것이라고 밝혔다. 리나 칸 FTC 위원장은 "역사는 신기술이 새로운 시장과 건전한 경.. 2024. 1. 26. 尹정부 '단통법 폐지' 추진, 약 될까 독 될까 중간요금제, 저가요금제, 제4 이동통신사 등 각종 통신비 절감 대책을 추진중인 정부가 이번에는 단통법 폐지 카드를 꺼내 들었다. 정부는 22일 국민 참여자 및 전문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 다섯 번째인 ‘생활규제 개혁’을 개최해 현행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을 전면 폐지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국회와 논의를 거쳐 단말기유통법 폐지 및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을 추진하고 소비자, 업계,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 의견을 수렴해 추진할 예정이다. 정부는 단말기유통법의 경우 미국·영국·프랑스 등 시장경제를 표방하는 대부분의 선진국에는 없는 규제법으로 글로벌 규제 스탠다드에 부응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으며, 시장경쟁 강화를 통한 소비자 후생 증진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단말기.. 2024. 1. 23. 이전 1 ··· 56 57 58 59 60 61 62 ··· 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