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450 임대차2법 폐지냐, 보완이냐...찬반 의견 엇갈려 2020년 7월 시행된 「임대차2법」이 4년이 지나면서 새롭게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전세물량이 다량으로 나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최근 정부는 전세시장 안정을 위해 「임대차2법」의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존폐를 두고 찬반의견이 갈리고 있다. 「임대차2법」은 ‘국민 주거생활의 안정 보장’을 목적으로 ‘계약갱신청구권’과 ‘전월세 상한제’ 도입의 법적 근거가 되고 있다. 계약갱신청구권은 세입자에게 1회의 계약갱신요구권을 보장해 기존 2년에서 4년으로 계약 연장을 보장받도록 하되, 주택에 집주인이나 직계존속·비속이 실거주할 경우 등에는 계약 갱신 청구를 거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전월세 상한제는 임대료 상승폭을 직전 계약 임대료의 5% 내로 하되, 지자체가 조례로 상한을 정할 수 있도록 했다... 2024. 8. 7. 국정감사 이슈로 부상한 K-컬처밸리사업...주민들 "백지화 철회" 촉구 경기도 북부 최대 개발 사업으로 주목받던 'K-컬처밸리(CJ라이브시티) 복합개발사업이 백지화된 가운데, 지역 주민의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K-컬처밸리 사업은 문화, 예술,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결합한 대규모 복합 문화 단지 개발 프로젝트로, 고양특례시 일산호수공원 인근 32만 6천㎡ 부지에 세계 최대 K팝 공연장 ‘아레나’를 포함해 스튜디오, 테마파크, 상업시설, 호텔 등을 조성하는 계획이다. 하지만 해당 사업은 약 8년간 추진되던 중 지난 7월 1일 중단되었다. 경기도는 기존 사업시행자인 CJ 그룹과 계약을 해지하고 공영 개발을 통해 다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국내 최대 전문 공연장을 포함해 K-콘텐츠 복합단지 조성 계획이 사실상 무산되었다는 관측이 나온다. 경기도는 10일 기자회견을 .. 2024. 8. 7. 생태계 살리는 '도시 숲' 유럽과 한국 프로젝트 비교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탄소 중립을 실현하고자 최근 여러 국가에서 ‘도시 숲’을 주요 정책으로 내놓고 있다. 도시에 조성된 숲은 생물 다양성에 좋은 영향을 주고 지역 사회에 많은 이점을 가져다준다. 녹지 공간은 사람들의 정신 건강을 향상시키고, 대기 오염의 해로운 영향을 줄이며, 도시의 열섬 현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도시숲은 여름철 한낮의 평균기온이 도시 중심보다 약 3∼7도(℃) 낮고, 평균 습도는 9~23% 높아 도시열섬을 완화하고 미세먼지는 평균 25.6%, 초미세먼지는 평균 40.9%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1 헥타르(ha)의 도시숲(10년생)은 연간 평균 6.9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한다. 도시숲을 이루는 나무들은 잎을 통해 교통소음.. 2024. 8. 6. 환경 살리는 제로웨이스트 구독, 착한 사회적기업 이야기 일정액을 내면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공급자가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구독서비스는 어느새 누구나 하나쯤은 이용하는 서비스가 되었다. 종류도 다양하다. 신문·잡지 등 정기간행물, 우유 등이 집 앞으로 배달되던 초기 구독경제에서 넥플릭스, 쿠팡과 같은 OTT 플랫폼을 거쳐 빨래, 맞춤형 영양제, 그림, 취미용품은 물론 제로웨이스트에도 구독서비스가 진출하고 있다. 구독 서비스의 인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비대면 문화의 확산과 경기 침체로 인해 요즘 소비자들은 소유보다는 구독을 통한 경제적인 효과를 추구하는 경향이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KT경영경제연구소는 2016년 25조9000억원이었던 국내 구독경제 시장규모가 연평균 54.8% 성장해 오는 2025년 최대 100조원까지 확대될 전망이라고 .. 2024. 8. 6.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 113 다음